대구시가 지역화폐인 대구행복페이(사진)의 한도를 조정한다. 1인당 충전 금액을 줄이더라도 더 많은 시민이 이용하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대구시는 대구행복페이 가입자와 충전 이용자 급증으로 월간 발행액 1000억원이 조기 소진돼 매월 충전하지 못하는 이용자가 발생해 대책을 마련했다고 7일 밝혔다. 시는 매달 1000억원, 연간 1조1000억원 발행 규정을 연간 1조1000억원 총액 발행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또 개인별 충전한도를 현재 월 5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축소 조정해 더욱 많은 시민이 대구행복페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2020년 3000억원으로 시작한 대구행복페이는 인기가 높아져 지난해 1조430억원을 발행했다. 올해도 1조1000억원을 발행한다. 하지만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다. 2020년 말 29만명이던 가입자 수는 지난해 말 49만명으로 급증했다. 올해 1월 말 기준 가입자 수는 59만명을 기록했다. 1월 발행 물량 1000억원은 일주일 만에 소진됐다. 시는 2월 지역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열고 시민 1061명을 대상으로 충전한도 조정에 대한 설문조사도 진행해 한도 축소 등을 결정했다. 1인당 충전한도가 월 5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조정되면 월 충전인원이 20만명에서 33만명 정도로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할인율(10%)은 국비지원 조건으로 시 자체적으로 임의 조정이 불가능하다. 종이류 상품권 발행은 제조·유통·폐기에 발행액의 4% 정도 비용이 발생하고, 부정수취와 불법환전(일명 카드깡) 등 부정거래가 우려돼 반영하지 않았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