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의 ‘고액 보수’ 논란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한 후보자는 2017년 12월부터 최근까지 법무법인 김앤장에 고문으로 있으면서 18억원이 넘는 보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6일 “한 후보자가 받은 보수를 문제 삼는다면 우리도 더불어민주당 정권에 몸담았던 인사들을 조사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계 인사 중에도 한 후보자처럼 민간기업에서 높은 보수를 받은 사례가 얼마든지 있다는 얘기다.
문재인정부에서 국방부 장관(2017년 7월~2018년 9월)을 지낸 송영무 전 장관은 해군참모총장 퇴임 10개월 뒤인 2009년 1월부터 2년 9개월 동안 법무법인 율촌에서 9억9000만원의 고문료를 받았다. 김오수 검찰총장도 법무부 차관에서 물러난 직후인 2020년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법무법인 화현에서 월 1900만~2900만원씩 받은 일로 논란이 됐다.
박용진 민주당 의원은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로펌은 법률회사가 아니라 로비업체”라며 “혹시라도 사익과 혹은 기업의 이익만을 위해 공정과 관련된 부분을 훼손하는 로비를 했다면 총리로서는 자격 미달”이라고 비판했다.
한 후보자가 1989년부터 보유하고 있는 서울시 종로구 3층 단독 주택 관련 의혹도 제기됐다. 한 후보자는 장인으로부터 3억8000만원 가량에 이 집을 매입했는데, 이후 시세보다 높은 100억원에 매물로 내놓았다고 서울신문이 보도했다.
또 JTBC는 한 후보자가 통상산업 분야 정부 고위직으로 근무할 당시인 1993년 이 집을 미국 석유회사 한국법인에 장기간 월세를 줬고, 1995년에는 같은 회사가 채권최고액 약 1억6000만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다며 이해충돌 가능성을 제기했다.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 준비단은 “계약 전 과정을 중개업소에 일임하고, 세금을 투명하게 납부했다”며 “부적절한 부동산 거래 사실이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시민단체 투기감시센터는 이날 18억원 보수와 관련해 한 후보자를 뇌물수수 및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