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이 6일 본궤도에 올랐다. 윤 당선인이 지난달 20일 집무실 용산 이전 구상을 직접 발표한 이후 17일 만이다.
정부는 이날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임시국무회의를 열고 집무실 용산 이전을 위한 360억원 규모의 예비비를 심의·의결했다. 360억원은 윤 당선인 측이 당초 집무실 이전 비용으로 추산했던 496억원보다 136억원 적은 금액이다.
예비비 처리가 늦어지면서 윤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일부터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업무를 시작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윤 당선인이 5월 내 용산 집무실에 입주하고, 6월 안에 대통령실의 모든 이전 절차를 끝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가 의결한 예비비에는 위기관리센터와 경호종합상황실 등 안보 필수시설 구축 비용(116억원)과 국방부 이전 비용(118억원), 일반 사무실 공사비와 전산서비스 시스템 비용(101억원), 대통령 관저로 쓰일 육군참모총장 공관 리모델링 비용(25억원) 등이 포함됐다.
김 총리는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는 찬반을 떠나서 차기 정부가 판단할 몫”이라고 말했다. 다만 “엄중한 안보 상황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은 안보 공백 없이 치밀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와 당선인 측은 한·미 연합군사훈련과 관련 있는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일부 부서는 훈련이 종료되는 오는 28일 이후에 이전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합참이 나간 자리에 들어서는 대통령경호처 이전 비용 등은 양측이 추가로 협의해야 한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예비비 추가 확보는) 잘 협조되고 있다. 이번에 의결된 (360억원) 이외에 추가로 하겠다고 (청와대와) 이야기됐다”며 “예비비에 대해서는 지금 같은 프로세스를 밟아서 협조해 주겠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배현진 당선인 대변인은 “취임일인 5월 10일에 딱 맞춰 집무실을 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 “그 이후에도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윤 당선인은 취임 이후 일정 기간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을 그대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 관계자는 “국방부 청사에 안보시설(벙커)을 마련하고 윤 당선인이 안보 공백 없이 업무를 보는 것은 5월 내에 가능하다”면서 “다만 모든 이전 절차가 마무리되려면 6월은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도 이르면 7일 이사업체와 계약을 맺고 본격적인 이전 준비에 돌입한다. 예비비 360억원이 집행되면 국방부 청사 5~10층에 위치한 부서들이 우선 이전하게 된다.
대통령 집무실 등 핵심 시설이 배치되는 청사 1~4층에는 현재 한·미 연합훈련 유관 부서가 자리하고 있다. 결국 1~4층 공사는 4월 중순으로 예정된 한·미 훈련 이후 가능할 전망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