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기자 10명 중 8명은 기자 생활을 하는 동안 심리적 트라우마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의 트라우마 경험 빈도가 잦은 현실과 달리 트라우마 관련 사전 교육이나 심리상담 등과 같은 후속 지원을 받아본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여성기자협회는 협회 소속 현직 기자를 상대로 트라우마 경험 관련 첫 공식 설문조사 실시 결과 544명 중 428명(78.7%)이 ‘기자로 근무하는 동안 심리적 트라우마를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트라우마를 느낀 빈도는 ‘가끔 있음’이 280명(51.5%)로 가장 많았지만 ‘자주 있음’(105명)과 ‘매우 빈번함’(43명)도 148명(27.2%)에 달했다. ‘전혀 또는 거의 없음’은 116명(21.3%)이었다.
트라우마가 지속되는 기간도 짧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월호 사건 또는 아동학대·성폭력 등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을 다룰 때 심리적 트라우마가 얼마나 지속했느냐’는 질문에 ‘한 달 이상’이라고 답한 이가 188명(43.9%)에 달했다.
트라우마 경험 부서로는 사건팀과 법조, 정부 부처를 포함한 사회부가 206명(48.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방자치단체(지역) 44명(10.3%) 경제·산업·금융 등 경제부 40명(9.3%) 청와대·정당·외교 및 안보 등 정치부 26명(6.1%) 탐사보도 기획취재 25명(5.8%) 순이었다.
트라우마를 느낀 상황이나 이유(복수응답)로는 ‘취재 과정’(61%)과 함께 ‘보도 이후 독자들의 반응’(58.4%)을 들었다. 보도 이후 기자를 향한 공격 등으로 트라우마를 겪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기자들은 트라우마에 일상적으로 노출돼 있으나 관련 교육이나 지원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응답자의 81.8%는 취재나 보도를 하기 전 트라우마 예방교육을 받았느냐는 질의에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지난해 11월 8일부터 18일까지 실시됐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