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오미크론 확산 원인을 한국산 의류제품으로 지목하는 중국 언론들의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보복으로 가해진 중국의 한한령(중국 내 한류금지령) 공포가 다시 엄습하는 건 아닌지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주중 한국대사관 등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지난 1일부터 모든 수입품에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며 한국 제품만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중국 내 언론과 소셜미디어 등은 한국 제품을 지목하고 있다. 6일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지난 3~4일 베이징에 보고된 10명의 감염자 중 8명이 한국 옷가게 직원들과 동거인이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2일 인민일보 산하 건강시보도 랴오닝성 다롄시와 장쑤성 창수시에 보고된 한국산 옷 판매 직원의 확진 사례를 보도했다. 산둥성 칭다오시는 같은 달 14일 한국발 화물에 대한 핵산검사와 살균 강화에 나섰다. 문제는 언론들이 단지 의심만으로 보건 당국을 인용해 한국산 ‘마녀사냥’에 나서고, 수입업자의 주문 접수가 중단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은 코로나 사태 초기부터 우편물이나 냉동식품 등을 통해 해외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됐다는 ‘외부 기원설’을 고집하고 있고 한국산에도 같은 논리를 편다. 중국 매체들은 일본 학자의 논문을 인용해 플라스틱 등에 붙은 오미크론 생존기간이 193.5시간(8일)으로 우한(56시간)이나 델타변이(114시간)보다 길다는 점을 강조한다. 통관 등 절차를 감안하면 한국산이 중국 현지에서 판매되는 데는 최소 2주 이상 걸리는 점을 볼 때 억지에 가깝다. 더구나 오미크론 잔량은 193.5시간이 지나면 무시할 만한 수준으로 줄어든다. 우리 통상 및 보건 당국은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설득에 나서야 한다. 양국이 한국산 의류 샘플을 채취해 바이러스 잔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다. 불필요한 오해와 불신으로 발생하는 제2의 한한령 사태는 막아야 한다.
[사설] ‘한국산 옷’이 오미크론 원인이라는 중국의 황당한 주장
입력 2022-04-07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