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공동주택 층간소음에 대한 사회적 기준이 어느 때보다 까다로워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실제 완공된 주택에서 소음을 사후 확인하기로 했다. 실험실에서 측정해 사전 인정하는 지금보다 더 확실히 소음을 잡겠다는 의지다. 건설사들도 소음차단 실험 무대를 실제 주택과 거의 유사한 실험실이나 실제 주택으로 옮기는 추세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은 오는 8월 도입되는 ‘바닥충격음 사후확인제도’를 대비해 기술개발에 한창이다. 삼성물산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10가구 규모의 실증주택과 층간소음 측정실, 체험실을 보유한 층간소음연구소 실험동 ‘래미안 고요안(安) LAB’을 열기로 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층간 소음 기술이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건지 검증하고, 실제 아파트에도 시범 적용해서 외부기관 검증 확보할 것”이라며 “검증된 기술은 발주처나 조합에 제안해 현장 적용할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건설도 층간 차음재 두께를 더하고 방통 몰탈을 사용하는 등 경량 1등급, 중량 2등급을 만족하는 층간소음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술을 완공된 주택에 실험·적용하고 있다. 한화건설 관계자는 “포레나 천안두정(22년 4월 완공)과 포레나 수지동천(2022년 3월 완공) 아파트에서 바닥차단음을 자체 점검한 결과 국토부 기준에 이상 없는 수치가 나왔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이 층간소음 실험무대를 실험실에서 점차 실제 주거환경에 가까운 곳으로 옮겨가는 데는 이유가 있다. 새 관리 기준에 따르면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사용검사권자가 사업주체에 보완시공이나 손해배상 등의 조치를 권고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이런 상황을 원천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도 주목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2019년부터 층간소음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해왔다. (재시공하는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속해서 저감 성능 발휘되도록 구조 개발하고 성능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현대건설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층간소음차단 1등급 기술을 확보했다.
대우건설도 지난해 2월 스마트 3중 바닥구조를 만들어 특허를 출원했다. 내력강화 콘크리트와 고탄성 완충재, 강화 모르타르로 구성돼 성능을 강화했다. 이 외에도 구조 시공 기술 2건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높아지는 기준에 맞추기 위해 꾸준히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대부분 건설사가 층간소음 기술 현장적용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하지만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기술을 모든 현장에 적용하면 좋을 텐데 차음제나 모르타르 등 재료를 추가하는 데 아무래도 비용이 들어간다”라며 “결국 시행사가 받아들여야 하는 건데, 사후 확인제도로 바뀌기 때문에 앞으로 시행사를 설득해 나아가야 할 부분이다”라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