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늘리는 빛고을… 운전자들은 ‘충전소 찾아 삼만리’

입력 2022-04-06 04:04

광주·전남지역 수소충전소가 턱없이 부족해 친환경 수소자동차 운전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2045 탄소 중립도시’를 표방하고 있지만 정작 수소 기반 구축은 강 건너 불 보듯 한다는 지적이다.

광주시는 “지난해 2월 2045 탄소 중립도시추진위원회 출범식을 가진 이후 대대적인 대중교통·자전거 이용하기 운동과 함께 친환경 수소자동차 보급 확산에 나서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시는 올해만 대당 최고 3250만원을 국비·시비로 지원하는 조건으로 수소차 150대를 확대·보급할 방침이다.

수소차의 경우 일반 자동차와 달리 내연기관 엔진이 없어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을 뿐 아니라 공기정화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150대가 연말까지 추가되면 광주에는 3월말 현재 등록된 1051대를 포함해 1200여대의 수소차가 운행하게 된다.

하지만 광주지역 수소충전소는 지난해 12월 문을 연 첨단지구 월출 충전소를 포함해 현재 5곳에 불과하다. 영업시간도 제한돼 밤이나 이른 아침에는 아예 충전할 수 없다. 이마저 서구 벽진 수소충전소는 시내버스 전용인 탓에 일반 수소차는 헛걸음하는 사례가 적잖다.

1곳의 수소충전소가 300대 가까운 수소차를 감당하게 되면서 운전자들은 충전할 때마다 자치구 경계를 넘어 10㎞ 이상 원정 충전을 하거나 1시간 이상 대기하는 게 일쑤다.

전남 지역 사정은 더욱 열악하다. 전남 22개 시·군 가운데 여수와 장성을 제외한 20개 지자체는 아예 충전소가 한 곳도 없어 장거리 충전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전남에서는 여수 국가산단과 장상 백양사 휴게소에 이어 이달 중 광양 수소충전소가 3번째로 문을 열게 된다. 하지만 수요를 맞추기에는 역부족이다.

전남도는 지난해까지 함평 등 4곳에 수소차를 위한 충전시설을 구축하기로 했으나 수소가스 폭발을 우려하는 주민들이 많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차 운행을 권장하기에 앞서 충전시설 기반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한다.

수소차 운전자 김모씨는 “수소충전소가 자치구에 한 곳도 없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고 수소차를 산 것을 후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