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A 검언유착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이 한동훈(사진) 사법연수원 부원장(검사장)의 공모 혐의를 무혐의 처분하겠다고 이정수 서울중앙지검장에게 보고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한 검사장에 대한 수사가 2년 만에 종지부를 찍을 가능성이 커졌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이선혁)는 이날 채널A 사건 수사 경과·처리 계획 등을 이 지검장에게 보고했다. 오후 5시부터 1시간가량 진행된 보고에는 정진우 1차장검사와 이 부장검사, 주임검사 3명이 참석했다. 서울중앙지검은 “증거분석 상황과 관련 법리 등을 종합하여 신속하게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검장은 수사팀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조만간 결론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채널A 사건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수사지휘권을 발동한 효력이 유지돼 김오수 검찰총장이 아닌 이 지검장이 최종 결정권을 쥐고 있다. 검찰은 2020년 8월 이동재 전 채널A 기자를 강요미수 혐의로 기소했지만 한 검사장에 대한 처분은 유보했다. 수사팀은 한 검사장에 대해 공모 혐의를 적용하기 어렵다며 서울중앙지검 지휘부에 11차례 무혐의 의견을 보고했다. 지휘부는 한 검사장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 조사가 필요하다는 이유 등으로 처분을 확정하지 않았다. 최근에도 이 지검장은 수사팀의 무혐의 보고에 ‘일주일만 기다려 보자’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채널A 사건 등에 대해 검찰총장의 지휘가 가능토록 수사지휘권 발동을 추진했다가 번복하며 논란이 재차 불거졌다. 추 전 장관이 박탈한 검찰총장의 수사지휘권을 회복시켜 한 검사장에 대한 서울중앙지검의 무혐의 결론을 막으려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자 박 장관은 해당 사안을 철회했다. 다만 이 지검장이 최종 결재를 하기 전에 박 장관이 수사지휘권 행사에 나선다면 수사 결론은 김오수 검찰총장에게 넘어갈 수 있다. 박 장관은 이날 출근길에 한 검사장 처분에 대한 의견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특정인에 대해서만 묻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며 불쾌감을 표시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