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는 4일 론스타 사건 연루 의혹에 대해 “사적으로 전혀 관여된 바 없다”고 일축했다. 하지만 론스타의 국내 법률대리인인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고액의 급여를 받으며 고문으로 재직한 이력, 과거 재정경제부 장관 시절 저축은행법 시행령 개정으로 저축은행 사태를 불렀다는 책임론 등은 여전히 약점으로 지적된다.
한 후보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 첫 출근을 하면서 취재진의 론스타 관련 질문에 “론스타 문제에 대해선 국가 정부의 정책 집행자로서 관여를 한 부분이 있지만, 김앤장이라는 사적인 직장에서 관여한 바는 전혀 없다”며 “인사청문회에서 질문이 나오면 설명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는 정부가 2003년 매각한 외환은행을 헐값에 인수한 뒤 다시 매각하며 수조원의 차익을 챙겼다. 한 후보자가 2002년 11월부터 론스타의 법률대리인인 김앤장의 고문으로 8개월간 재직했던 것과 관련해 시민단체 투기자본감시센터는 “(한 후보자가) 론스타의 외환은행 불법 매각을 은폐한 책임자”라고 주장했다. 센터는 한 후보자가 고문료로 1억5000여만원을 받았다는 주장도 내놨다.
한 후보자가 최근 4년간 김앤장의 고문으로 있으면서 18억원이 넘은 급여를 받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SBS는 2017년 12월부터 최근까지 김앤장 고문으로 재직한 한 후보자가 2020년 말까지는 연봉을 5억원씩 받고, 이후로는 3억원씩 받았다고 보도했다. 한 후보자는 ‘고액 연봉이 아니냐’는 질문에 “국민 눈높이로 봐서는 그런 측면도 있을 수 있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고액 연봉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시민단체와 저축은행 사태 피해자들은 한 후보자에 대해 저축은행 사태 책임론도 제기한다. 한 후보자가 재경부 장관이던 2006년 저축은행법 시행령을 개정해 여신 한도 규제를 대폭 완화했고, 그로 인해 저축은행 사태가 야기됐다는 것이다. 특정인 또는 기업에 무제한으로 돈을 빌려줄 수 있게 하면서 저축은행 부실화 속도를 앞당겼다는 주장이다.
한 후보자는 이번에 세 번째 인사청문회에 서게 됐다. 총리실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을 단장으로 준비단을 꾸려 청문회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한 후보자와 ‘원팀’을 꾸릴 경제부총리 등 경제라인 조각 발표는 이르면 오는 7일부터 이뤄질 전망이다.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수요일(6일)까지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총리 인선과 마찬가지로 경제라인에서도 의외의 인물을 발탁하는 ‘깜짝 인사’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당선인 측 관계자는 “현재 거론되는 분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특정 역할을 맡아 당선자와 일을 해 왔던 인물들”이라고 설명했다.
인수위 기획조정분과 간사인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과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 최상목 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 김소영 서울대 교수 등이 거론된다. 한 후보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후보자의 전문성이나 능력에 대한 저의 인식이나 평가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다른 장관 후보자들도 속속 발표될 전망이다. 당선인 측은 경제, 외교라인을 함께 발표하는 방안도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