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은 새 정부의 최우선 협력 국가로 미국을 꼽았다. 또 한·일관계 개선, 단계적 쿼드(미국 인도 일본 호주 4개국의 비공식 안보회의체) 가입, 중국에 당당한 입장 표명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조사한 결과, 86.8%는 새 정부에서 최우선적으로 협력해야 하는 국가로 미국을 선택했다고 4일 밝혔다. 이어 북한 5.0%, 중국 3.2%, EU 2.1%, 일본 1.4%였다.
국민들은 한국이 경제와 외교·안보 분야에서 북한 중국 러시아보다 미국 일본과 긴밀한 협력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경제 분야에서 미국 일본과 강하게 손을 잡아야 한다는 응답은 68%에 이르렀다. 철저한 중립 유지는 27.7%, 북한 중국 러시아와 긴밀하게 협력은 4.3%였다.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미국 일본과 긴밀한 협력을 해야 한다는 답이 69.5%에 달했다. 철저한 중립 유지는 24.4%, 북한 중국 러시아와 협력은 6.1%였다.
또한 응답자의 74.9%는 한국과 일본 정부가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목했다. 주요 쟁점인 징용공 배상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일본의 사과를 받고 한·일 기업이 공동 조성한 기금으로 배상하는 방안’(50.4%)을 가장 많이 거론했다.
새정부에서 쿼드 참여 국가에 외교 우선순위를 두려는 정책 방향에 77.1%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쿼드 가입과 관련해 현행 백신 분야 워킹그룹에 참여하고 있는 수준에서 기후변화, 신기술 워킹그룹 등으로 확대하는 등 단계적 가입을 추진해야 한다는 답이 69.0%로 가장 많았다.
한편, 한·중 관계에 단기적 어려움을 겪더라도 한국 정부가 주요 갈등 현안에 당당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84.9%나 차지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