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안팎의 고령층 코로나19 확진자가 꾸준히 사망으로 이어지면서 4차 접종을 둘러싼 정부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고위험군 보호의 필요성은 크지만 대상군 확대에 앞서 전략적으로 고려할 변수 역시 적지 않기 때문이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고령층 4차 접종 관련) 전문가 자문단 회의가 오는 8일로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접종 정책은 통상 전문가 자문단을 거쳐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 결정된다.
정부는 일단 고령층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선 4차 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3차 접종 효과 감소로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지속적으로 올라 이날 기준 최근 1주간 신규 확진의 19.2%를 차지했다. 미국이 최근 50세 이상에 대해 4차 접종을 허용했고, 앞서 이스라엘(60세 이상) 스웨덴(80세 이상) 등도 고령자들에게 4차 접종을 권고했다.
반면 4차 접종 확대를 쉽게 결론 지을 수 없다는 기류도 읽힌다. 우선 시기가 문제다. 큰 유행이 오기 전 백신을 맞아야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이미 많은 이들이 오미크론에 확진됐다. 감염을 통한 자연 면역이 늘며 지난 2월 요양병원·시설에 공급된 4차 접종용 화이자 백신 절반이 유효기간 만료로 폐기됐다.
‘오미크론 맞춤형’ 백신의 올가을 투입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차세대 백신 개발 소식도 고민을 더한다. 방역 당국 관계자는 “겨울철에 대비하는 측면에서라도 연내 한 번은 추가 접종이 필요할 것”이라며 “수용성을 생각하면 (그전에) 무한정 맞힐 수도 없다. 차세대 백신의 접종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어떤 변이가 유행을 주도할지도 변수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앞으로의 변이가 오미크론에 기반을 둘지 여부가 중요하다”며 “만약 그렇다면 오미크론에 맞춰 백신의 시퀀스(염기서열)를 조정하는 게 도움이 되겠지만 아니라면 무의미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신규 확진자는 2주째 감소세다. 이날 0시 기준 23만4301명이 새로 확진됐고 306명이 숨졌다. 위중증 환자는 1128명으로 집계됐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