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는 인구(12만명)보다 사업장(13만개)이 더 많은 지역이다. 유동인구 수백만명에 따른 민원도 대부분 중구청의 몫이다. 서양호(사진) 중구청장의 4년 임기 행적과 관심은 모두 이 부분에 집중됐다. 서 구청장은 3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서울역, 덕수궁, 시청이 중구에 있는데 구민에게 할인도 세금 혜택도 없다”고 말했다. 중구는 꾸준한 인구 감소세에도 남산고도지구 등 규제에 직면해 있다. 임대료 수입이 높아 오랜 시간 공사해야 하는 재개발·재건축 수요도 높지 않다. 직주 근접성이 높지만 많은 사람이 중구를 떠나는 이유다.
중구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도심 공동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에 집중했다. 2019년 시작된 중구형 초등돌봄 사업의 경우,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오후 8시까지 구청이 무료로 직영 돌봄센터에서 돌봐준다. 또 관내 43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최대 200만원 상당의 학부모 분담금도 지원한다. 서 구청장은 “아이 키우기 힘들다는 이유만으로 떠나는 일 없게 하자는 생각으로 시작했다”며 “남산초와 흥인초는 1학년에서 한 반이 늘어났다”고 강조했다.
서 구청장은 “회현동, 약수동, 다산동 등 산동네 사람들은 인근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장까지 나오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마을버스 노선 하나 없는 중구의 교통 혁신 사업도 구상하고 있다. 대표 사업이 구청에서 차를 픽업해 출근 시간에 가져다주는 공공 발렛 서비스다. 관내 공공시설을 거점으로 연결하는 공공셔틀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서 구청장은 자치구 최초의 경제개발공사 설립을 통해 재원을 일부 마련하겠다는 목표다. 경제개발공사는 현행 시설관리공단과 달리 수익사업이 가능하다. 서 구청장은 “중구는 도심 한복판에 있어 공공시설을 개발하면 임대료 수입을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구는 공간혁신전략회의와 과장급 추진반을 신설해 관내 공공시설 복합화 사업 우선순위 100여곳을 분류해 놓은 상태다. 서 구청장은 “경제개발공사를 통해 도심에 거주하는 구민들의 불이익을 이익으로 돌리겠다”고 말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