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정선군번영연합회가 최근 강릉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이 체결한 강릉수력발전소 발전 재개를 위한 공론화 협정에 대해 밀실야합이라며 반대 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정선군번영연합회 임채혁 회장은 3일 “한국수력원자력은 도암댐의 수질 개선을 위해 약품 살포보다 근본적이고 안전이 담보된 수질 개선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며 “도암댐 하류 지역 주민의 생존권을 위해 한강 하류 지역과 연대해 반대 운동을 전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강릉시와 한수원은 지난달 30일 강릉시청에서 ‘강릉수력발전소 발전 재개를 위한 공론화’ 협약을 체결했다. 도암호 수질 오염 문제로 21년째 멈춰있는 강릉수력발전소의 재가동을 위한 것이다. 한수원은 수질 개선을 위해 천연광물 수질 개선제인 제올라이트를 활용한 정화방식을 제안했다.
강릉경실련과 강릉시민행동, 강원영동생명의숲, 시민환경센터 등 강릉지역 시민단체는 최근 반대 입장문을 내고 “강릉시와 한수원이 체결한 공론화 협정은 시민 의견 수렴 없는 야합이자 사기극”이라고 주장했다.
도암댐 하류에 있는 강릉수력발전소는 연간 1억8000만㎾h의 전력을 생산했다. 댐 방류수는 정선과 영월을 거쳐 한강수계로 이어진다. 또 강릉수력발전소에서 발전용으로 사용된 물은 강릉 남대천을 통해 동해로 흘러간다.
하지만 댐 건설 이후 고랭지 채소밭의 흙탕물과 축산폐수, 생활하수가 유입되면서 수질이 악화됐다. 결국 수질오염에 반대하는 강릉과 정선지역 주민의 반발로 도암댐은 2001년 3월 발전방류를 중단했다.
정선=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