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인사를 둘러싼 신구 권력 충돌이 여야 전면전으로 비화하고 있다. 갈등 상황이 계속될 경우 윤석열정부 첫 국무총리와 주요 장관급 인사의 인사청문 절차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청와대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문재인 대통령 동생의 대학 동창인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대표 선임을 놓고 1일에도 날 선 대치를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인사 문제 뿐 아니라 청와대의 특수활동비 지출 내역을 두고 공방을 벌이면서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정치권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TBS 라디오에서 박 대표 인사에 대해 ‘몰염치한 알박기 인사’라고 비난한 인수위를 향해 “문재인정부는 민간기업 인사에 전혀 관여한 바가 없다.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자 인수위는 곧바로 반박했다. 원일희 수석부대변인은 서울 통의동 인수위 기자실에서 “부실 공기업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지가 문제의 본질”이라며 “청와대가 감정적으로 해석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도 참전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마지막까지 (청와대의) 오만과 독선이 하늘을 찌른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그러자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조정식 민주당 의원은 “정권 말에는 대통령이 인사권을 행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고 맞받았다.
여야는 청와대 특활비를 놓고도 격돌했다. 국민의힘이 김정숙 여사의 의류비가 특활비에서 지출된 것 아니냐는 의혹을 거듭 제기하자 민주당은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 시절 집행했던 특활비 사용처부터 밝히라”고 맞불을 놨다.
이런 갈등 구도는 이달 중 진행될 국무위원 인사청문회 일정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은 이르면 3일 신임 총리를 발표하고, 내각 인선을 이어갈 방침이다. 만약 172석을 가진 민주당이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부결시키거나 국무위원 청문 절차에 협조하지 않으면 새 정부는 ‘반쪽 출범’을 할 수밖에 없다. 윤 당선인이 공언한 ‘코로나 손실 보상’과 ‘임대차 3법’ 전면 개정도 어려워질 수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현 정부의 문제점에 대해 침묵할 수는 없지만 윤석열정부의 첫 단추가 될 수 있는 국무위원 인사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인수위 내부에선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확전을 자제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인수위 다른 관계자는 “전면전으로 치닫지 말고 국지전 정도에서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세환 이상헌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