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실무 협상을 앞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청와대는 집무실 이전 과정에서 안보 공백이 없어야 한다는 원칙을 꺾지 않고 있다. 반면 윤 당선인 측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8일 만찬 회동에서 집무실 이전에 대한 협조의 뜻을 밝힌 만큼 청와대가 최대한 빨리 후속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압박하는 모양새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이번 주 내로 집무실 이전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윤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 직후 용산 집무실에서 업무를 보기는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31일 “집무실 이전 협상의 핵심은 여전히 안보 공백 발생 여부”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 측이 안보 우려를 불식할 만한 이전안을 제시해야 예비비를 포함한 예산 협조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반면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청와대가 집무실 이전에) 협조해 주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다른 관계자도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이미 큰 틀에서 공감대를 이뤘으니 예비비를 포함한 세부 논의가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청와대가 윤 당선인 측이 요구하는 이전 예비비 496억원 가운데 국가 안보와 직접 관련이 없는 일부 이전 비용을 우선 지급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합동참모본부 이전 등 안보 혼란이 우려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이전 비용은 먼저 승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집무실 이전 절차는 유기적으로 다 연결돼 있다. 어느 단계까지는 안보 우려가 없고, 그 단계를 넘어서면 공백이 생긴다고 딱 잘라 말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윤 당선인이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을 집무실로 쓸 경우 안보 우려가 없기에 지원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철희-장제원 라인과 별개로 국방부도 인수위 측과 예비비 조율을 위한 실무 협의에 나섰다. 국방부 관계자는 “우선적으로 필요한 비용을 산정해 인수위 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방부 이전을 대비한 이사 및 시설 공사비, 네트워크 구축 등 정보통신 관련 설치비가 우선 고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위는 집무실 이전 상황과 상관없이 윤 당선인 취임 직후부터 청와대를 대중에 공개할 계획이다. 인수위는 청와대를 K팝 공연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열리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박세환 정우진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