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31일자 관보를 통해 정부 고위공직자 1978명의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공개한 결과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보다 1억1407만원 늘어난 21억9099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문 대통령 부부는 퇴임 후 머물 경남 양산 사저 신축과 관련해 부동산 항목의 변동이 컸다. 대통령 경호시설에는 국가 예산이 투입되지만 퇴임 대통령 사저는 자비로 충당해야 한다.
문 대통령이 보유한 건물 가치는 지난해 6억119만원에서 올해 25억7212만원으로 올랐다. 이 가운데 신축 중인 주택과 근린생활시설의 가치가 22억5068만원을 차지했다.
문 대통령 부부의 채무 역시 15억원가량 증가했다. 문 대통령은 농협에서 3억8874만원을 대출했고, 김정숙 여사는 사인 간 채무 11억원이 발생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여사의 채무에 대해 “사저 신축 비용으로 13억9200만원을 마련해야 했는데 금융기관 대출 최대한도가 3억8900만원이었다”며 “나머지 11억원이 더 필요해 사인 간 채무로 충당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채무를 진 건) 지난해 상황으로, 경남 양산 매곡동 옛 사저의 매매계약이 최근 체결돼 채무를 모두 갚았다”며 “(채권자는) 아무 이해관계가 없는 분이며, 이자도 다 지급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5년간 문 대통령의 총수입과 지출도 공개했다. 문 대통령의 임기 내 총수입은 19억8200만원이며, 세금 3억3500만원을 뺀 세후 총소득은 16억4700만원이다. 이 중 13억4500만원을 사용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의 1978명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보면 이들의 올해 신고재산 평균액은 16억2145만원이다. 지난해 14억5516만원에서 1년 새 1억6629만원 증가했다.
공직자들의 재산 증가는 부동산과 증시의 영향이 컸다. 주택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종합주가지수 상승에 따라 재산 증가분이 평균 9527만원 늘어나 57.3%에 달했다. 급여 저축이나 상속, 증여 등으로 인한 순재산 증가 폭은 7101만원(42.7%)으로 나타났다.
공개대상자 1978명 중 재산 1위는 이강섭 법제처장으로 지난해보다 231억6645만원 증가한 350억6767만원을 신고했다. 광역단체장 중에선 오세훈 서울시장이 59억226만원으로 1위였다. 오 시장은 전년 대비 약 10억2238만원 늘어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선거 때 10억8000만원을 대출받았고, 선거 이후 비용을 보전받아 채무를 상환했다”며 “이외 재산변동내용은 예금 증가분 2억원, 주식보유 감소분 2억3300만원, 전세권 감소분 2500만원”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공직자 재산 신고 대상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 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교육감 등이다.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등은 각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가 별도로 공개했다.
김이현 오주환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