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의 정석문 리서치센터장은 기관 투자자가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면 극단적인 가격 변동성이 줄어들고 시장의 파이가 커질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글로벌 시장에서 기관 비중이 늘어난 만큼 코인 가격이 폭락하는 ‘크립토 빙하기’가 다시 도래하기는 어렵다고 관측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가상자산 리포트를 전문적으로 발간하는 국내 유일의 기관이다.
정 센터장은 30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안정적인 자금력과 가치 평가 역량을 보유한 기관이 가상자산 시장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 센터장은 골드만삭스와 UBS, 노무라증권 등 금융권에 종사하다 2018년 코빗으로 넘어왔다.
정 센터장에 따르면 현재 국내 가상자산 거래의 99.9%는 개인에 의해 이뤄진다. 기관이 투자할 방법은 마땅치 않다.
“은행이 법인에 가상자산 거래소로의 원화 입출금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있어요. 고객 자산을 활용해 펀드를 만드는 길도 막혀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이 불명확한 측면도 있죠.”
반면 해외에서는 몇 년 전부터 기관 투자가 활발하다. 미국 코인베이스에서 거래되는 암호화폐의 60% 이상은 기관 몫이다. 정 센터장은 기관의 참여가 늘면 국내 시장도 질적으로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1990년대 이후 유가증권시장에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이 들어오면서 시가총액이 늘고 투자법이 고도화된 사례를 들었다. 그는 “전문 지식과 자금을 가진 기관이 진입하면 가상자산 가치가 제대로 평가되고 변동성도 줄어들 수 있다”면서 “‘잡코인’에 투기하는 관행도 정돈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전과 같은 크립토 빙하기가 재현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했다. 과거에는 빙하기 직전 코인 가격이 전고점의 20배를 넘는 폭등장이 펼쳐졌는데, 지난해의 상승폭은 그에 미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기관의 가상자산 보유량이 늘어난 것도 폭락 가능성을 낮추는 요소로 꼽았다. 향후 금리가 오르더라도 시장의 기대치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타격이 적을 것으로 봤다.
정 센터장은 국내에서 발행된 ‘김치 코인’ 중에는 테라폼랩스의 ‘루나(LUNA)’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루나는 스테이블 코인 ‘테라USD’의 가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토큰이다. 그는 “루나 팀은 블록체인 네트워킹을 글로벌하게 활용할 줄 아는 것 같다”면서 “다른 코인들은 사업 범위를 국내로만 한정 짓는데 그래서는 생태계가 커지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방극렬 기자 extre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