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 정부 첫 조각, 민생과 화합에 초점 맞춰야

입력 2022-03-31 04:0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이르면 이번 주말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첫 조각 인선에 들어갈 예정이다. 국무총리를 비롯해 전체 국무위원 면면은 차기 정부의 국정 운영 방향을 보여주는 가늠자다. 공직자로서 자질과 능력은 물론 도덕적으로도 흠집이 없는 인물을 앉혀야 하는 이유다. 첫 조각 인선은 향후 윤석열정부 5년의 주춧돌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선 코로나19로 취약해진 민생을 챙기고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조각이 필요하다. 아울러 국민 화합을 기치로 내걸었다는 평가도 받아야 한다. 윤 당선인은 인수위원회를 구성할 때 소위 ‘서오남(서울대·50대·남성) 인사’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대선 후보 시절 공정을 기치로 내걸었던 만큼 더 이상 그런 얘기가 나오지 않도록 지역, 계층, 성별 등을 감안해 널리 인재를 등용하기 바란다. 또한 과거 정부의 인사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명박·박근혜·문재인정부는 모두 특정 대학, 측근 중심의 코드인사를 중용했다가 비판을 받았다. 특히 박근혜정부는 초대 총리 후보자와 장관 후보자들이 줄줄이 검증의 칼날을 피하지 못하고 물러나 정권 출범부터 휘청거렸다. 당장 첫 단추인 총리 인선부터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윤 당선인은 경제와 민생을 강조하면서 경제통 인사를 후보군으로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총리 인선만이 아니라 경제부총리, 금융위원장, 대통령실 경제수석까지 이 경제 원팀이 드림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그렇게 만들어주실 최적임자를 총리 후보로 찾고 있다”고 밝혔다. 물론 경제도 중요하지만, 전체 국민을 아우르는 통합의 이미지가 가미된 인사여야 한다는 사실도 간과해선 안 된다. 여소야대 국면에서 국회 통과가 가능한 인물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첫 총리 인준부터 어려워지면 자칫 국정 운영 동력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을 수 있다.

특히 철저한 검증을 통해 도덕성 시비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수위는 국무위원 후보군 검증을 위해 검찰과 경찰, 국세청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인사검증팀을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증에 검증을 거듭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할 것이다. 첫 조각 인선은 윤석열정부 5년의 성패를 좌우할 수도 있다. 국민이 인정하고 믿고 따를 수 있는 인선, 더 나아가 국민을 감동하게 하는 인선이 이뤄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