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새로운물결 대표가 더불어민주당의 합당제안을 전격 수용했다. 이에 따라 김 대표의 6·1 지방선거 출마 여부 및 지역에 대한 논의도 본격 진행될 예정이다.
서울시장과 경기지사 후보군으로 동시에 거론되는 김 대표의 결심에 따라 수도권 광역단체장 경선 구도 역시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2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윤호중 민주당 비대위원장이 어제 제안한 ‘정치교체를 위한 정치개혁 추진기구’ 구성과 합당 제안을 수용한다”고 밝혔다. 그는 “오늘부터 양당은 실무적인 협의와 절차들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윤 비대위원장은 28일 비대위 회의에서 김 대표에게 정치교체 협의기구 구성과 양당 합당 논의를 개시하자고 공개 제안했다.
양당 합당이 사실상 성사되면서 김 대표의 지방선거 출마에 대한 논의도 급물살을 타게 됐다. 김 대표는 기자들을 만나 “지방선거 출마 문제에 대해서는 가장 빠른 시간 내에 당과 시민 또는 도민 의견을 듣고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여러 기대가 엇갈리는 중이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김 대표 측에 서울시장 후보로 나서 달라는 요청이 많이 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대선 패배 후 서울시장 선거가 ‘험지’로 인식되면서 민주당 내에서는 이렇다 할 후보군이 형성되지 않고 있다. 김 대표가 이런 인물난을 타개할 적임자라는 시각이다.
그러나 김 대표의 의중은 경기지사 쪽으로 상당히 기운 것으로 알려졌다.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전 경기지사의 ‘홈그라운드’인 만큼 승산이 높은 것도 사실이다.
그만큼 당내 경쟁도 치열하다. 5선 조정식·안민석 의원과 염태영 전 수원시장이 출마를 선언했거나 할 예정이다.
김 대표가 경기지사 출마를 결심하면 당장 ‘경선 룰’ 변경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상대적으로 당내 기반이 취약한 김 대표는 현재의 국민참여경선(여론조사 50%+당원여론조사 50%)에서는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당 일각에서는 비대위가 경기지사 후보 경선을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로 변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경쟁자들은 벌써 반발하고 있다. 조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민주당은 이해찬 대표 때부터 시스템 공천이 정착돼 있다”며 “지금 경선 룰을 바꾼다는 것은 자칫 특정인을 봐주기 위한 임의적인 변경으로 원칙에 위배될 수 있다”고 견제했다.
민주당으로서는 서울시장 후보로 나설 중량급 인사를 찾는 것도 숙제다.
‘송영길 추대설’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이 전 지사의 측근 그룹 7인회 멤버인 정성호·김남국 의원은 이날 오전 경북 영천 은혜사에 머물고 있는 송 전 대표를 만나 지방선거에서 역할을 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페이스북에 “정말 어려운 선거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누군가는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희생하고 헌신해야 한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