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 성수동 삼표레미콘 공장이 가동 44년 만인 6월 완전 철거된다. 최근 신흥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성수동 일대 개발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8일 정원오 성동구청장, 윤인곤 삼표산업 대표, 서상원 현대제철 경영지원본부장 등과 함께 레미콘공장 부지에서 열린 공장 해체 착공식에 참석했다. 오 시장은 “지역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레미콘공장 철거는 지역주민의 오랜 숙원이자 시대적 요구가 됐다”며 “이 일대를 ‘204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청년 첨단 혁신축 강화 및 미래 서울 성장력 확보를 위한 중요 전략적 부지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레미콘공장은 제2공장과 제1공장 순으로 순차 해체가 진행되며 6월 30일까지 완전히 철거될 계획이다. 2017년 10월 서울시와 성동구, 운영사인 삼표산업, 부지 소유주인 현대제철이 철거 협약을 맺은 지 약 4년 5개월여만이다. 당시 4자 대표는 6월까지 이전·철거를 끝마치고 부지 2만8804㎡를 공원화하는 데 합의했다. 이후 100여 차례에 가까운 논의 끝에 기한 내 철거에 성공했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성동구 일대 개발이 속도를 내면서 레미콘공장 철거 과정도 순탄치 않았다. 당초 시는 부지를 강제 수용 후 공원화하려했으나 공장 대체 부지를 찾는 데 어려움이 겹치며 사업이 표류했다. 이후 삼표산업은 자신들이 공장 부지를 현대제철로부터 매입 후 부지 활용을 전제로 공장을 자진철거한다는 제3의 안을 내놓았다.
시 관계자는 “4개 기관이 심도있는 논의 끝에 현대제철이 삼표산업의 토지매입 제안을 수용했다”며 “서울시와 성동구도 공장 철거를 전제로 한 부지 활용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시는 당초 계획대로 공원화를 할 경우 시유지인 서울숲 내 주차장 부지(1만9600㎡)를 준주거지역으로 상향·매각하고, 그 비용으로 철거 부지(2만8804㎡)를 수용해 공원을 조성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공원면적 증가분이 기대보다 크지 않다는 게 고민이었다. 주거지 인근 공원을 축소시키면서 주택용지로 민간에 매각할 경우 특혜시비도 일 수 있다는 점에서 결국 삼표산업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서울시는 공장 철거 부지를 서울 시민과 전 세계 관광객이 찾는 대표 명수로 재탄생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서울숲에 인접한데다 중랑천의 한강 합류부에 위치해있다”며 “수변 중심의 복합 거점으로 활용하는 게 도시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