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권 승계 수단?… 삼성 웰스토리 배당금의 진실은

입력 2022-03-28 04:06
검찰 검찰입구. 뉴시스

검찰이 삼성웰스토리 일감 몰아주기 사건 수사로 규명하려는 대목은 삼성 미래전략실의 웰스토리 이익 보전 지시가 단체급식 시장의 공정경쟁을 얼마나 위협했는지 여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웰스토리의 성장이 과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그룹 차원의 프로젝트였는지 밝히는 데까지 수사가 나갈 수 있다.

27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부장검사 고진원)는 웰스토리가 시설비 등 장기적 목적 투자 대신 배당을 선택한 경위에 의구심을 갖고 사건 관계인들을 조사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지난해 6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고발을 접수한 뒤 적극적 배당을 실시하는 웰스토리가 삼성물산을 지배하는 이 부회장의 핵심 자금조달 창구(캐시카우)일 수 있다며 주목했다. 삼성물산의 100% 자회사인 웰스토리는 유독 배당성향이 높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물산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웰스토리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총액은 2758억원인데, 2017년 배당금 930억원은 웰스토리 당기순이익보다 많았다. 검찰은 웰스토리가 유리한 여건의 사업구조를 확보하고 삼성전자 등 계열사의 단체급식 사업을 할 수 있었던 경위는 무엇인지 살펴 왔다. 업계 관계자들은 공정위 조사에서 미전실이 식재료비 마진을 보장하고 식자재 가격조사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이 파격적으로 유리한 사업구조라고 진술했었다.

삼성 측은 공정위가 결론 내린 웰스토리 부당 지원 행위에 이견이 있다. 나아가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돕는 성격이었다는 의혹도 부인한다. 삼성 측은 웰스토리의 적극적 배당에 대해서는 직원 성과급 지급, 모회사 이자비용 문제와 연관되는 경영 판단이었다는 취지로 소명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배당 없이 이익을 자본에 포함하면 세금 문제가 발생해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지급하기 어렵다는 논리, 모회사가 배당을 받으면 이자 비용을 줄이는 현실적인 목적이 있었다는 논리 등을 강조한 것이다.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문제는 국정농단 사태 당시와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부정 사건 당시에도 거론됐다. 일각에서는 웰스토리와 경영권 승계 문제를 결부시키는 것은 앞선 사건들에서의 검찰 판단과 충돌하는 측면이 있다는 반론도 제기한다. 검찰은 앞서 이 부회장의 승계 계획을 위한 이른바 ‘프로젝트G’를 설명할 때 “내부 매출 비중이 높은 에버랜드의 급식사업은 물적 분할해 계열사와 통합하는 방안을 수립했다”고 했다. 애초 급식사업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도움이 되지 않는 요소처럼 지목돼 있었는데, 이후 다시 웰스토리를 통한 경영권 승계를 말하는 것은 상충되지 않느냐는 것이다.

공정위는 앞서 웰스토리와 승계 과정과의 연결점은 찾지 못했다고 했다. 미지의 영역으로 남긴 부분에 칼을 빼든 검찰은 최근 압수수색 영장이 기각당했지만, 시민사회의 배임 고발까지 고려해 수사를 계속 한다는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이 사건은 지난해 8월 배임이 추가 고발된 것도 묶여 있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