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 확산에 힘입어 급증하던 코로나19 유행이 횡보·감소세로 돌아서는 모양새다. 사망자는 향후 최소 1~2주간 늘어날 공산이 크다. 치료제 추가 확보를 서두르고 있는 정부는 정책 실패로 확진자 급증을 초래했다는 책임론에 날을 세웠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5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3만9514명이라고 밝혔다. 전날보단 5만6000여명, 전주 같은 요일보단 6만7000여명 줄었다. 최근 일주일의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35만7871명으로 직전주보다 5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확실한 감소세인지는 조금 더 확인이 필요하다”면서도 “고비를 넘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망자 추이는 상황이 다르다. 이날 사망자는 393명으로 여전히 400명에 육박했다. 정부는 확진자 수가 정점을 기록한 뒤로도 인명 피해가 당분간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중환자가) 최대 2000명까지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의료체계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위중증 환자는 이날 0시 기준 1085명으로 파악됐다. 이달 말 중환자가 2000~2500명까지 늘어날 것이란 당초 예상을 밑도는 데엔 경구용 치료제의 역할이 작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 동안 3만9269명분의 팍스로비드가 투약됐다. 전날 기준 국내 재고는 4만8947명분이었다. 전날 도입된 라게브리오 2만명분·팍스로비드 4만4000명분을 포함해 다음 달까지 46만명분의 경구용 치료제를 들여온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최근의 확진자 급증에도 누적 사망 등 실질적 피해 측면에선 해외 주요국보다 형편이 낫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통계 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인구 100만명당 누적 사망자는 261.81명으로 미국(2923.31명), 이탈리아(2618.98명), 영국(2405.56명) 등보다 크게 적었다. 잘못된 정책으로 대확산을 초래했다는 비판엔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김 총리는 “세계 어느 나라 못지않게 잘 대처해왔다”며 “우리 공동체가 (코로나19 대응에) 정말 실패했느냐”고 반문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