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홍역 동해·삼척, 이젠 복구… 임산물 피해 보상 건의도

입력 2022-03-25 04:06
작업자들이 24일 강원 강릉시 옥계면 산불 피해지역에서 산불로 집을 잃은 주민들을 위한 임시주택을 설치하고 있다. 임시주택은 1년간 무상 사용이 가능하고 1년 연장도 가능하다. 연합뉴스

동해안 대형산불 피해를 본 강원도 동해·삼척시가 산불 피해조사를 마치고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동해시는 24일 산불 피해 조사 결과 및 복구 계획을 밝혔다. 동해는 산불로 산림 2735㏊가 피해를 입었다. 주택 화재 등 피해 건수는 799건, 피해액은 173억원이다. 정부의 복구 지원비는 556억원으로 파악됐다.

동해시는 이재민 73가구에 임시조립주택과 임대주택 등 맞춤형 주택을 지원키로 했다. 5월부터 민가 주변 등 221㏊의 산림을 긴급 벌채한다. 집중호우 등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해 민가 주변 등 위험지역 20곳에 응급복구를 한다. 또 2027년까지 432억원을 들여 조림사업을 전개한다. 피해 농가는 종자 공급을 우선 공급하고, 농기계를 무상 임대한다.

동해시는 비상소화장치와 산불감시 CCTV 설치를 위해 국비를 지원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비상소화장치는 소방차 출동이 힘든 지역에 설치해 화재 초기에 주민이 직접 불을 끌 수 있는 시설이다. 강원도는 2019년 고성·속초 산불 피해 이후 동해안 2180개 마을에 비상소화장치 설치 예산 288억원 가운데 144억원을 지원해 달라고 정부에 건의했으나 820곳에만 설치됐다. 2021년과 올해는 국비 지원이 아예 끊겼다. 설치비용은 1대당 850만원정도다. 심규언 동해시장은 “분야별 복구 대책을 추진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을 적극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삼척시는 지난 4일 산불로 인한 피해액이 102억원, 복구비는 197억여원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 피해면적은 2161㏊다. 삼척시는 6월까지 주택 주변과 관광지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피해 산림 71㏊를 긴급 벌채한다. 이어 내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681㏊의 산림에 조림복구사업을 추진한다.

삼척시는 송이버섯 등 자연 임산물을 피해보상 범위에 포함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송이버섯 등 자연 임산물은 사회재난 지원범위에서 제외돼 보상이 막막한 상황이다. 김양호 삼척시장은 “구호 및 복구 규정에 송이버섯 등이 포함되도록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동해=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