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학동참사’ 재개발 공사 재개되나

입력 2022-03-25 04:06

광주 학동 재개발 4구역 건물 해체공사가 금명간 재개될 전망이다. 지난해 6월 철거 중이던 건물의 붕괴 참사가 발생한 지 9개월여 만이다.

광주 동구는 붕괴 참사 직후 재개발조합 측에 내린 학동 4구역 사업구역 내 건물 해체공사 중지 명령을 17일 조건부 해제했다고 23일 밝혔다. 조합 측이 8일 새로운 감리자와 맺은 계약서와 함께 중지 명령 해제를 요청했고 내부 논의와 법적 검토를 거쳐 조건부로 이를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동구는 현장의 안정성을 꼼꼼히 점검한 후 최종 승인할 방침이다.

해체공사가 중단된 대상 건물은 34개 동이다. 사업구역 내 보상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건물 8개 동은 강화된 인허가 절차에 따라 별도의 해체 허가를 받아야 한다.

동구는 34개 동에 대한 공사재개 충족 조건으로 4가지 보완사항을 제시했다. 공사장 동영상 녹화, 새 철거업체 선정 후 안전관련 회의 개최, 해체 감리자 안전 계획 수립, 현장 배치 근로자 조직도·도급·상주감리계약서 확보 등이다.

하지만 조합 측이 현대산업개발(현산)의 시공권 회수를 공언한 데다 시민단체 등이 반발하면서 학동 재개발 4구역 잔존건물의 해체공사가 언제 재개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광주에서는 학동과 직선거리로 불과 5~6㎞ 밖에 떨어지지 않은 화정동에서 현산 측에 의한 붕괴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현산을 퇴출시켜야 한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해체공사 중지명령 해제와 별도로 붕괴참사 현장은 당분간 그대로 보존된다. 형사재판을 진행 중인 광주지법은 붕괴참사 현장 4개 필지에 내린 현장보존 명령을 5월말까지로 연장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