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망자 급증 시작인데 고위험군 이렇게 방치할 텐가

입력 2022-03-25 04:01
코로나19로 23일 하루에 470명이 목숨을 잃었다. 역대 최다 사망자가 발생했다. 그중 441명은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93.8%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오미크론 유행 이후 사망자 약 7000명의 연령분포에서도 고령층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래서 고위험군으로 분류해 특별히 관리해 왔는데, 정부가 오늘부터 손을 뗀다. 60세 이상 고령자, 암 등으로 치료 중인 면역저하자를 신속항원검사로 확진된 경우엔 집중관리군에서 제외해 일반관리군에 포함시켰다. 전담병원의 하루 두 차례 증상 모니터링과 처방이 이제 이들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각자 알아서 의료기관에 연락해 비대면 진료를 받아야 한다.

델타 유행 때 도입된 재택치료는 모든 대상자를 매일 모니터링하는 것이었다. 위급 시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그리한다고 했었다. 오미크론 환자가 급증하자 당국은 60세 이상 고령자, 50대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만 모니터링하기 시작했다. 그러다 더 폭증하니 지난주 50대 기저질환자를 집중관리에서 제외했고, 이제 60세 이상과 면역저하자도 빼버렸다. 집중관리군에는 60세 이상과 면역저하자 중 PCR검사로 확진된 사람만 남았다. PCR검사로 확진되면 더 위중한 것도 아니고, 신속항원검사 확진자는 위급 상황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도 아닌데 그렇게 했다. 과학적 근거를 찾을 수 없다. 정부는 “집중관리 전담병원 배정에 시간이 걸려 치료가 늦어지니 각자 다니던 병원에서 조기 진료를 받게 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집중관리군에조차 치료를 제때 제공할 수 없어 각자 알아서 하게 했다는 것인데, 이를 ‘조기 진료를 통한 중증화 방지’라고 거창하게 포장해 말하고 있다.

확진자 증가와 사망자 증가 사이에는 통상 2~3주 시차가 있다. 지금 사망자 규모는 하루 20만명 정도가 확진되던 2~3주 전 상황이 반영된 것이다. 이후 30만, 40만명대로 폭증한 확진 수치를 감안하면 사망 증가는 이제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 전문가들은 하루 1000명씩 숨지는 사태가 올 수 있고, 그런 정점 구간이 몇 주 동안 길게 이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 피해의 대부분이 고위험군 몫이 될 상황에서 정부는 거꾸로 그들을 방치하고 있다. 그러면서 그들을 보호하는 일이라고 뒤집어 말하고 있다. 황당한 일이다. K방역은 세 축 가운데 정확한 검사와 치밀한 추적을 사실상 포기했다.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마지막 수단인 치료만큼은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하면 안 되는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