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점기에 들어선 것으로 평가되는 국내 코로나19 유행이 요일에 따라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절대적 유행 규모가 커진 만큼 변동 폭도 10만명 안팎에 이른다. 위중증 환자 증가에 대비해 오는 26일부터 국내 2호 경구용 치료제 라게브리오(성분명 몰누피라비르)가 현장에 공급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9만881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일 대비 13만여명, 전주 같은 요일보다 9만여명 증가한 규모다. 같은 날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1084명, 신규 사망자는 291명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지난주 하루 평균 40만명가량이 확진됐으며 20~23일 평균 확진자는 그보다 소폭 감소한 34만7000명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 유행 추이를 가늠하기엔 이르다고 덧붙였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지난주엔 (16일 0시 기준) 확진자를 집계하는 과정에서 통계가 분산되기도 했다”며 “내일, 모레라든지 또 금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방역 완화 속도 조절에 실패한 탓에 확진자가 폭증했다는 비판에 대해선 결과론적 지적이라고 일축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방역 조치를 완화하지 않았어야 한다는 비판은 다시 말해 14일간 격리, 사적모임 4인 제한, 오후 9시 영업제한을 유지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단편적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유행이 쉽게 잦아들지 않자 정부는 오는 25일부터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확진된 면역저하자·60세 이상 고령자 등을 재택치료 일반관리군으로 간주하기로 했다. 단 본인이 원한다면 집중관리군으로 분류돼 일 2회 건강관리를 받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MSD(머크)사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라게브리오 도입도 서두르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이날 출입기자단에 “2만명분을 우선 도입할 예정”이라며 “24일 통관 절차를 거쳐 26일부터 감염병전담병원 등지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발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직후 나왔다. 식약처는 전날 열린 공중보건 위기대응 의료제품 안전·공급위원회 심의 결과 라게브리오 캡슐에 대해 긴급사용승인을 결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투약 대상은 중증 이행 위험이 높은 경증~중등증 확진자 중 팍스로비드와 렘데시비르를 사용하기 어려운 이들이다. 만 18세 미만의 소아·청소년과 임부에겐 처방·사용할 수 없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유행의) 역학을 완전히 변화시킬 수준의 약물이라기보다는 치료 옵션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