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방역’ 때린 인수위… “국민 항체양성률 조사해 과학방역을”

입력 2022-03-23 04:02
연합뉴스

안철수(사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이 문재인정부 방역정책을 ‘정치 방역’으로 규정하며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복제약 추진 등 7가지 권고안을 내놨다. 의료계는 일부 안에 동의하면서도 먹는 치료제 복제약 추진 등에 대해선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인수위 내 코로나19 비상대응특별위원장을 겸한 안 위원장은 22일 특위 첫 현안 기자회견을 열어 “현 정부 방역정책을 정치 방역이라고 평가한다. 즉 여론에 따른 정책 결정”이라고 했다. 그는 “새 정부는 과학 방역, 즉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 결정을 하겠다”며 “현 정부를 향한 권고사항 7가지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먼저 “재택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동네의원에서 대면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고위험군인 확진자가 증상 시 최우선적으로 검사·치료를 받게 만드는 패스트트랙을 만들어야 한다”며 “확진자와 백신 부작용 데이터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대부분은 이미 나왔던 얘기”라고 평하면서도 대면진료 확대 필요성에는 동의했다. 이 교수는 “특히 소아들은 증상을 직접 얘기 못하는 경우가 많기에 대면진료를 풀어줘야 한다. 꼭 필요한 연령대”라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또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항체 양성률을 정기 조사해서 방역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항체양성률을 정기 조사하면 연령대, 지역별로 정확한 방역 정책을 세울 수가 있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탑승한 차량 행렬이 22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건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항체보유율 조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를 대상으로 2020년 이후 5번 실시했다”고 말했다. 장희창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앞으로 매달 간격으로 좀더 촘촘하게 간격을 둬 국민들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인수위에도 그렇게 보고할 것”이라고 했다.

안 위원장은 5~11세 백신접종 자율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부채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조치와 함께 경구치료제 복제약 생산도 제시했다. 그는 “제약사에 요청해 특허 저작권료를 내고 국내에서 복제약을 만들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당장 국민들이 죽을 지경인데 어느 세월에 그걸 하는가. 그보단 당장의 해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도 “단기 상황에 도움이 되긴 어렵다”며 “(제약사가) 특허를 풀어줄 가능성도 없다”고 일축했다.

조효석 송경모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