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임시 거처에 머물더라도 청와대로는 가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청와대를 집무실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윤 당선인의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경호경비팀장을 맡고 있는 김용현(사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2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윤 당선인의 충암고 1년 선배다.
김 전 본부장은 “(윤 당선인에게) 통의동에서 근무하는 것이 경호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보고를 드렸는데, 당선인이 ‘내가 불편한 건 참을 수 있지만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는 건 참을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21일 안보 공백을 이유로 집무실 이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에 윤 당선인 측은 5월 10일 대통령 취임식 이후에도 현재 당선인 사무실이 있는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집무를 시작하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김 전 본부장은 “분명한 것은 청와대에 안 들어간다는 것”이라며 “통의동에서 근무한다면 비상상황 발생 시 불가피하게 청와대 위기관리센터를 활용할 수밖에 없지만, 그 이외에 다른 청와대 시설은 일절 이용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주가 골든타임”이라며 “청와대와의 협의가 이번 주 안에 마무리되지 않으면 임기 시작 전에 집무실 이전을 완료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김 전 본부장은 “현 정권의 협조를 못 받을 경우 통의동 사무실을 사용하면서 집무실 이전을 마무리하는 것을 ‘플랜B’로 삼고 있다”며 “5월 10일 오전 5시부로 청와대를 전면 개방하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은 그대로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전 본부장은 특히 청와대가 집무실 이전에 대해 제동을 건 데 대해선 “다음 정부 발목을 잡고 국민의 뜻을 거스르는 대선 불복”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이 수차례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협할 때도 청와대는 ‘도발’이라고 말 한마디 못하더니 방사포를 쐈다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여느냐”며 “NSC가 아니라 쇼”라고 주장했다.
청와대가 용산 이전의 반대 사유로 지목한 ‘안보 공백’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김 전 본부장은 “구체적으로 어떤 안보 위기가 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면서 “지난 5년간 아무런 대책도 강구하지 않은 정권이 안보 공백을 거론할 자격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