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 11월 17일… 문과 상위권, 이과 수학책 집어드나

입력 2022-03-23 04:04 수정 2022-03-23 04:04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인 11월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1월 17일 시행된다. 지난해에 이어 문·이과 수험생이 수학 등에서 직접 경쟁하는 ‘문·이과 통합형’으로 치러진다. 지난해 생명과학Ⅱ ‘빈칸 수능 성적표’ 사태와 같은 문항 오류를 막기 위해 출제와 검토, 이의심사 절차를 강화키로 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2일 이런 내용의 ‘2023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시험 방식은 지난해와 동일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해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수능으로, 국어와 수학 영역을 ‘공통+선택과목’으로 치른다. 국어는 독서와 문학을 공통과목(75%)으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에 한 과목을 선택한다.

수학은 수학 I·Ⅱ를 공통과목(75%)으로 문·이과 수험생이 함께 치르고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골라서 본다. 문과 수험생들은 주로 확률과 통계, 이과 수험생은 미적분 혹은 기하를 선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지난해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수험생들이 불이익을 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어서 문과 상위권 수험생들이 다수 미적분 혹은 기하로 옮길 가능성도 제기된다.


탐구 영역은 사회와 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중 최대 2개 과목을 고를 수 있다.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이고 한국사·탐구 영역 시험에서는 수험생에게 한국사와 탐구 영역 답안지를 분리해 제공한다. 한국사는 필수여서 시험을 보지 않으면 수능 점수가 나오지 않는다.

문항 오류 예방을 위한 절차도 강화했다. 출제 과정에서 고난도 문항 검토단을 신설해 기존 1, 2차 검토 단계를 3단계로 늘렸다. 다수 조건이 활용되거나 다양한 풀이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 고난도 문항에 대해 5~6명이 집중 검토를 벌이게 된다. 검토자문위원도 8명에서 12명으로 늘어난다.

수능 이후 문항 및 정답에 이의 신청이 들어왔을 때 심사 절차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높여 좀 더 면밀히 검토키로 했다. 평가원이 생명과학Ⅱ 수험생들의 오류 주장을 묵살하면서 불거졌던 ‘빈칸 성적표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조치다. 평가원장이 맡아오던 이의심사위원장을 외부에서 위촉하기로 했으며, 외부 위원을 현재 5명에서 9명으로 확대한다. 자문을 얻은 학회 이름과 자문 내용도 공개하기로 했다. 수능 출제기간은 기존 36일에서 38일, 이의심사 기간은 12일에서 13일로 늘렸다. 성적통지일은 12월 9일이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