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1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방침에 대해 “새 정부 출범 전까지 국방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한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면서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에 대해 윤 당선인 측은 “안타깝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가장 대표적인 정권 인수인계 업무의 필수사항에 대해 협조를 거부하신다면 강제할 방법이 없다”고 맞받아쳤다.
윤 당선인 측은 이어 “윤 당선인은 통의동에서 정부 출범 직후부터 바로 조치할 시급한 민생문제와 국정 과제를 처리해나갈 것”이라며 “5월 10일 0시 부로 윤 당선인은 청와대 완전 개방 약속을 반드시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당선인 측은 청와대가 부정적 입장을 취하자 대통령 취임 직후에 청와대에 들어가지 않고 당선인 집무실이 있는 통의동에서 업무를 보겠다고 맞불을 놓은 것이다.
임기 말 인사권 문제로 현재 권력인 대통령과 미래 권력인 대통령 당선인 간 오찬 회동 무산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은 이후 양측은 집무실 이전 문제를 놓고 또다시 충돌했다.
특히 집무실 이전을 놓고 공방이 격화되면서 새 정부 출범을 전후해 통상적으로 있었던 ‘허니문’ 기간이 아예 없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윤 당선인의 방침에 대해 사실상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
박 수석은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며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합동참모본부의 갑작스러운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이전은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시간에 쫓겨야 할 급박한 사정이 있지 않다면 국방부, 합참, 청와대 모두 더 준비된 가운데 이전을 추진하는 게 순리”라며 “정부는 당선인 측과 인수위에 이런 우려를 전하고, 필요한 협의를 충분히 거쳐 최종 입장을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또 윤 당선인 측이 22일 국무회의에 대통령 집무실 이전 관련 예비비 편성안 상정을 요청한 것에 대해서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취했다.
국민의힘은 즉각 반발했다. 허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갑자기 ‘이전 계획은 무리’라며 제동을 걸고 나선 의도가 무엇인가”라며 “새 정부의 행보에 협력해주길 바란다”고 압박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서울 국무총리 공관에서 안철수 인수위원장과 차담 형식의 회동을 갖고 집무실 이전 계획과 관련해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며 정부 내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인수위와 협의할 수 있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이에 안 위원장은 “집무실을 옮기겠다는 당선인의 의지가 확고하다”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집중 공격을 가하고 있다. 윤호중 비대위원장은 “미국에서는 ‘한국에 K트럼프가 나섰다’는 말이 떠돌고, 항간에는 ‘레임덕이 아니라 취임덕에 빠질 것’이라는 말까지 나온다”고 비난했다.
이상헌 오주환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