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시대’ 경찰도 교통·시위·경호 실무 준비 착수

입력 2022-03-22 04:07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뒤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하겠다고 밝힌 용산 국방부 청사 앞 도로에 21일 출근 차량들이 빽빽이 들어서 있다. 윤 당선인 측은 교통 통제 시 대통령 관저로 활용이 유력한 한남동 공관에서 국방부 청사까지 3~5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 정체에 대한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이 확정되자 치안과 경비를 담당하는 경찰도 서둘러 실무 준비에 착수했다. 대통령 출퇴근 동선에 따른 교통 관리 및 시민 불편 최소화, 주변 집회·시위 관리 및 경호 사각지대 해소 등이 주요 과제로 꼽힌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21일 경찰청 경비국 등 관련 부서와 회의를 열어 대통령 집무실 이전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경찰은 조만간 대통령경호처 등과 실무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대통령 집무실 주변 경비·경호에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지금까지 청와대 인근 광화문광장 주변에서 주로 열렸던 대규모 집회들이 앞으로는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으로 옮겨갈 수 있다. 전쟁기념관 앞 공터, 남영동에서 용산역으로 이어지는 한강대로 구간, 삼각지역에서 이태원역까지의 녹사평로 일대가 대규모 집회가 가능한 공간으로 꼽힌다.

현행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은 대통령 관저 100m 이내 집회 금지 규정만 있어 관저가 아닌 집무실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법적 테두리 안에서 집무실 주변 집회 관리 방침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경비를 맡고 있는 서울경찰청 소속 101경비단과 202경비단도 용산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청와대 경비는 대통령 주변, 청와대 건물, 청와대 외곽 경비 등 ‘3선 경비’ 체제로 구축돼 있는데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면 주변 지형에 맞춰 그 역할과 임무의 전반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다.

특히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교통 관리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윤석열 당선인이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관저로 쓸 계획을 밝히면서 당선인 이동 시 교통 통제가 불가피해졌다. 육군참모총장 공관에서 국방부 청사까지의 3.2㎞ 구간은 도로 폭이 좁고 운행량이 많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김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