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대통령 집무실의 서울 용산 이전에 대해 “추가 규제는 없다”고 밝힌데 이어 오세훈 서울시장 역시 “서울시도 향후 추가적인 도시계획 규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오 시장은 지난 19일 윤 당선인에게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대해 “여러 이론이 있으니 숙성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취지의 ‘신중론’을 전달했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 문제가 돌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우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시 관계자는 “대통령실을 이전하더라도 시간을 들여 검토하는 게 옳다는 의견도 적지 않아 시 차원에서 의견을 냈던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윤 당선인은 오 시장에게 용산구에 대한 추가 도시계획 규제가 없을 것이라고 약속하고, 이날 속전속결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공식 발표했다.
서울시는 일단 기존 용산 개발계획이 무산되거나 변경되는 일은 거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시 관계자는 “윤 당선인이 육성으로 약속한 만큼 기존 사업에 지장이 없도록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도 제한에 대해선 “서울시가 지정하는 부분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대공 방어 차원에서 군사보호시설법상 높이 제한이 있는데 기존 국방부 위치에 따른 제한 외에 추가적인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최근 서울시가 아파트 ‘35층 규제’를 해제한 상황에서 용산 지역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영향을 받게 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오 시장이 이달 초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중 일부가 수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오 시장은 광화문~용산~여의도 구간을 용산정비창 개발계획과 연계시켜 ‘글로벌 혁신코어’로 개발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은 용산철도정비창에 111층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이 들어서는 것을 골자로 한 사업이다. 그러나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전하면 용산정비창에 111층 규모의 빌딩이 들어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엄격한 경호 기준이 적용될 경우 대통령실과 인접한 지역에 초고층 빌딩이 들어서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용산구 일부 주민들은 이촌동 주변 재건축 추진 아파트들이 이번에는 층수가 아닌 높이 규제를 받게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포함된 도심교통항공(UAM) 인프라 구축은 변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시는 용산에 대규모 UAM 터미널을 만들고, 드론택시 등을 김포공항∼용산국제업무지구 구간에 시범운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용산 일부지역이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되면 사업 변경이 불가피해 보인다. 시 관계자는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따른 UAM 사업 영향에 대해선 “아직 입장이 정해진 건 없다. 대통령 뜻에 따라 맞춰가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김이현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