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 대통령·윤 당선인 하루빨리 회동해야

입력 2022-03-19 04:01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간 지난 16일 오찬 회동이 전격 무산된 이후 아직 별다른 진전 소식이 없다. 역대 현직 대통령과 당선인의 만남은 모두 대선 이후 10일 이내 이뤄졌다. 윤 당선인이 9일 대선에서 당선된 만큼 오늘을 넘긴다면 1987년 직선제 이후 현직 대통령과 당선인 간 만남이 가장 늦게 이뤄지게 된다. 역대 최소 표차로 정권 교체가 이뤄지면서 아무리 신구 권력 간 갈등이 첨예하게 맞선다고 해도, 국익과 국민을 생각하면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신구 권력 간 갈등은 회동 무산 이후 오히려 확산 추세다.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과 공공기관 인사 등 각종 의제를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서로 상대측에 책임을 떠넘기면서 불쾌감과 불신만 팽배했다. 여야는 서로를 ‘점령군’이라고 원색적으로 표현하며 비난하기까지 했다. 신구 권력 간 순조로운 정권 인수인계를 위한 최소한의 협치 모습을 기대했던 국민은 실망하고 허탈했다. 이런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18일 윤 당선인 측을 향해 먼저 손을 내민 것은 다행이다. 문 대통령은 “빠른 시일 내에 격의 없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는 자리를 갖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라며 “무슨 조율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청와대의 문은 늘 열려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참모들에게 윤 당선인 측의 공약이나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해 개별적인 의사 표현을 하지 말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윤 당선인 측 김은혜 대변인은 두 사람의 회동과 관련해 실무 협의에 진전이 있느냐는 질문에 “상호 간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당내 인사들을 향해 조금씩 인내하고 지켜봐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양측 모두 서로 불필요한 발언으로 상대를 자극하지 말고 회동 성사에 집중하자는 취지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회동은 형식과 내용을 떠나 만남 자체만으로도 순조로운 정권 이양을 보여 주는 것이다. 결코 더 이상 미뤄져선 안 된다. 윤 당선인도 문 대통령의 이날 발언에 적극적으로 화답해 하루빨리 회동이 성사되길 기대한다. 양측은 힘겨루기를 자제하고 무조건 국민 통합을 위해 최대한 협력해야 한다. 회동이 늦어질수록 양측 모두 정치적 부담은 커지고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신구 권력 간 서로 다소 불편한 갈등이 표출되더라도 자중하고 빠른 회동 성사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