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은 북한이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를 강행할 경우 장거리 폭격기를 전개하는 ‘블루 라이트닝’ 훈련을 5년 만에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16일 알려졌다.
북한의 레드라인을 넘는 도발과 이에 대해 한·미가 장거리 폭격기를 출동시키는 훈련을 펼칠 경우 한반도 정세는 위기 국면으로 급격히 전환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블루 라이트닝’ 훈련은 태평양 괌의 앤더슨 기지에 배치된 B-52H 장거리 폭격기 또는 B-1B 전략폭격기를 한반도로 출동시켜 임무를 수행하는 절차에 관한 연습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일본의 전투기들이 폭격기와 각각 엄호 비행을 한다.
미군 장거리 폭격기의 한반도 출동은 2017년 이후 중단됐다. 미국은 2018년 5월 한국과 이 훈련을 계획했으나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긴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리 측 우려로 미국 단독으로 한반도 인근에서 시행했다. 특히 미국은 북한의 도발 수위에 따라 한반도 인근에 각종 전략무기를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태평양사령부가 에이브러햄링컨 항공모함의 함재기(F-35C)를 동원해 한국 서해에서 비행훈련을 벌이고, 이를 미국 7함대사령부가 15일 홈페이지에 이례적으로 공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국도 자체 대응 수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육군 미사일사령부는 등 강원도 일대에서 북한 미사일에 대응하는 성격의 미사일 시험발사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기를 다음 달로 조율 중인 한·미 연합훈련은 대규모 실기동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크다.
이날 미사일 발사 실패를 겪은 북한은 ‘김일성 생일 110주년(4월 15일)’까지 기술 완성을 위한 추가 시험발사를 강행할 경우 ‘강대강’ 대치 국면이 조성될 것으로 우려된다.
북한 미사일의 공중폭발 이유와 관련해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은 “음속을 돌파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진동으로 인해 연료통이 균열되고, 이로 인해 연료 누수 등이 있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발사 직후 상승 단계에서 가속을 위해 막대한 추력이 필요한데, 엔진에 문제가 생겨 추력이 충분히 나오지 않아 엔진 내 불균형이 생기면서 폭발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런 추정이 맞다면 이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탄도미사일의 매우 기본적인 부분에 문제가 생긴 것을 의미한다.
북한 입장에선 화성-17형의 기술 완성은 고사하고 다른 탄도미사일까지 점검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김일성 생일에 맞춰 성공 형식으로 포장하려다 보니 (미사일 개발) 일정을 너무 촘촘하게 잡고 시험발사를 부실하게 진행하고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20㎞ 이하 상공에서 폭발한 것으로 추정된 만큼 평양 시민 다수가 이를 목격하거나 액체 연료로 인한 불꽃이 사방으로 흩어져 피해를 줬을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미사일 발사를 치적으로 내세우려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체면을 구겼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김영선 정우진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