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사면 불가론 띄우는 민주당 “尹, 취임 뒤 직접 하라”

입력 2022-03-17 04:05
동부구치소 수감 도중 기저질환 치료를 위해 50여일 간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해 2월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퇴원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이명박(MB) 전 대통령 사면 불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주당의 반대 움직임이 이 전 대통령 사면 기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수진(비례) 이탄희 홍정민 의원 등 민주당 의원 18명과 이동학 전 최고위원은 1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전 대통령은 뇌물수수 등 혐의로 징역 17년과 벌금 130억원을 확정받은 중대 범죄자”라며 “이 전 대통령 사면을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직접 겨냥했다. 이들은 “(윤 당선인이) 직접 수사하고 기소했음에도 사면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대통령이 된 뒤에 직접 책임 있게 하라”고 주장했다.

박주민 의원은 MBC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이 전 대통령 사면은)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때 검토됐다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 것으로, 당선인이 요청했다고 해서 판단을 뒤집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의 사면 요구 방식에 대한 불만도 터져 나왔다. 한 친문(친문재인) 의원은 “사면·복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데 이런 식으로 여론몰이를 해서 대통령을 압박하는 방식은 선을 넘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동안 민주당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는 이유로 사면·복권과 관련해 말을 아껴 왔다. 그러나 윤 당선인 측의 ‘공개 압박’에 이어 ‘이명박·김경수’ 사면 거래설까지 거론되자 불만이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

노웅래 의원은 페이스북에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동시 사면하기 위해 MB를 남겨둔 것이라는 음해성 이야기까지 돌고 있다”며 “사면권을 정치적 거래의 수단으로 폄하한 것일 뿐 아니라 문 대통령에 대한 중대한 명예훼손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