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직원들을 동원해 자체브랜드(PB) 상품에 허위 리뷰를 작성하도록 한 정황이 드러났다며 시민단체들이 문제를 제기했다. 사실이라면 명백한 소비자 기만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엄단이 불가피하다. 참여연대 등 6개 단체는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쿠팡이 2021년 7월쯤부터 자회사 PB 상품에 대해 직원들에게 아무런 대가도 지급하지 않은 채 조직적으로 해당 상품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리뷰 조작을 통해 PB 상품의 노출 순위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게다가 올해 1월부터는 ‘쿠팡 또는 계열회사 직원이 상품을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 또는 ‘쿠팡 체험단이 작성한 후기’라는 표시조차 하지 않은 채 소비자를 가장한 허위 리뷰를 작성했다. 이는 공정거래법과 표시광고법 위반이다.
비슷한 제품이 있다면 상품평과 후기가 좋은 것을 고르는 게 소비자의 보편 심리다. 시민단체들은 쿠팡이 이런 심리를 악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직접 제 돈을 내고 물건을 구입한 실사용자가 작성한 솔직 리뷰처럼 작성했다는 것이다. 이런 후기에 속아서 물건을 구입한 소비자 입장에선 쿠팡이라는 플랫폼에 배신감을 느낄 게다. 이런 지적에 대해 쿠팡은 참여연대 측이 거짓 주장을 반복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쿠팡의 상품평은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어느 쪽 말이 맞는지는 분명히 밝혀져야 할 것이다. 시민단체의 신고를 받은 공정위가 즉각적인 조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하기 바란다.
이번 일을 계기로 플랫폼의 독과점 지위를 이용한 자사 상품 우대, 입점업체 차별 등의 행위를 규제할 ‘플랫폼 독점 및 불공정 방지법’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유럽의회는 지난해 온라인 플랫폼 관련 법률인 ‘디지털시장법안’을 의결했다. 미국도 온라인 플랫폼 기업을 규제하기 위한 5개 법안을 통과시켰다. 우리 국회에도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이 계류 중이다.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
[사설] 쿠팡의 조직적 허위 리뷰 의혹… 공정위가 진상 밝혀야
입력 2022-03-16 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