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한 해 동안 직접 흡연으로 사망한 30세 이상 국민은 하루 평균 159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비용은 12조1913억원으로 추산됐다.
질병관리청은 서울대학교 조성일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흡연 폐해 연구기반 구축 및 사회경제적 부담 측정 연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흡연으로 인한 주요 질병 41개를 선정한 후 비흡연자 대비 현재 흡연자와 과거 흡연자의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식 등을 활용했다.
연구 결과 2019년 직접 흡연 기준 사망자는 모두 5만8036명(30세 이상)이었다. 이 중 남성은 5만942명, 여성은 7094명으로 집계됐다.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비율인 ‘기여 사망률’은 남성이 32.3%로 여성(5.3%)보다 훨씬 높았다. 흡연에 따른 사망 위험도는 현재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남성은 1.7배, 여성은 1.8배 높았다. 과거 흡연자는 남성이 1.1배, 여성은 1.3배 더 위험했다.
흡연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은 의료비, 교통비, 간병비 등 직접비가 4조6192억원이었다. 또 조기사망에 따른 생산성 손실 등 간접비는 7조5721억원으로 나타났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