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사면론’ 부상… 尹-文 대통령 회동서 논의 가능성

입력 2022-03-15 04:07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9년 1월 1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다스 의혹’과 관련 항소심 2차 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호송차서 내려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

대선 이후 이명박 전 대통령 특별사면 문제가 정치권의 ‘핫이슈’로 떠올랐다. 국민의힘은 물론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수감 중인 이 전 대통령의 특별사면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6일 회동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 자리에서 이 전 대통령 사면 문제가 핵심 의제로 논의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4일 이 전 대통령과 가석방 상태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에 대한 사면·복권을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김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윤석열 당선인을 선택한 국민의 표심은 진영 갈라치기는 이제 그만하고 국민통합을 통해 화합과 번영의 새 시대를 열어달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 전 대통령과 이 부회장 등에 대한 사면과 복권 문제를 이젠 매듭지어야 할 때”라며 “문 대통령의 결자해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에서도 사면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에 출연해 “이 전 대통령에 대한 특별사면은 자연스럽게 하지 않을 수 없는 단계”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이 문제를 풀어내고 퇴임하는 게 보기도 좋다”며 “다음 대통령에게 미룰 일도 아닌 것 같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 일정은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는 “조율만 된다면, 이르면 내일(15일)이라도 회동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만나면 이 전 대통령 사면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일반적 관측이다.

이에 따라 이 전 대통령이 실제 사면될 수 있을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문 대통령 임기 종료 하루 전인 석가탄신일(5월 8일) 사면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여기에다 현 여권 주변에서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사면 얘기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말 박근혜 전 대통령을 전격 사면한 뒤 이 전 대통령 사면 여부에 대해선 침묵하고 있다. 윤 당선인이 이 전 대통령 사면을 요구할 경우 문 대통령이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