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으론 전세도 못얻어”… 산불 꺼졌지만 터전회복 막막

입력 2022-03-15 04:02
초대형 산불 피해지역인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남양리에서 14일 피해주택 잔해물 제거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강릉시 제공

경북 울진·강원삼척과 강릉·동해 산불이 모두 꺼졌지만 피해 조사와 복구, 보상은 산적한 과제로 남았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울진·삼척 산불로 주택 319채, 농축산 시설 139곳, 공장과 창고 154곳 등 총 643곳의 시설물 피해가 발생했다. 강릉·동해에선 산불로 주택 190채, 창고 26곳 등이 피해를 입었다.

하루 아침에 삶의 터전을 산불로 잃은 주민들의 최대 관심사는 주택 복구다. 그런데 정부고시 기준에 따르면 주택 완파는 1600만원, 반파는 800만원이 지원된다. 국민 성금과 지자체 지원금이 일부 지원되지만, 새집을 짓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주민들은 말한다. 이재민 신모(75)씨는 14일 “산불로 집이 다 타버려서 돌아갈 곳이 없다”며 “집을 새로 지어야 할 텐데 정부에서 주는 지원금으로는 전세도 얻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2019년 강원도 속초·고성 산불 당시 주택이 전파된 경우 정부지원금 1300만원, 지자체(강원도)지원금 2000만원, 성금 모금액 3000만원 등 총 6300만원이 지원됐다. 반파는 정부지원금 650만원, 지자체지원금 1000만원, 성금 모금액 1500만원 등 총 3150만원이 지원된 바 있다.

불에 다 타버린 송이 산지 피해 보상도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송이 주산지인 울진 북면과 죽변면, 금강송면은 산불 직격탄을 맞았다. 이들 지역은 울진 전체 송이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지난해 산림조합 수매 물량 기준으로 울진에선 1만2159㎏의 송이가 거래됐다. 전국 채취량 10만2193㎏의 10%에 해당한다. 삼척 역시 지난해 송이 수매량이 6000㎏에 이른다.

하지만 해마다 송이 생산량이 다른 탓에 보상기준에 어떻게 책정될 지도 관심사다. 울진·삼척 산림조합에 송이를 납품한 경우 판매기록이 남아 이를 근거로 보상금을 산정하는 게 가능하지만, 조합을 거치지 않고 개인이 직접 판매한 경우 근거 자료가 마땅치 않아 보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남동진 울진군산림조합장은 “많은 임업인이 수십년 가꿔온 송이 산지가 하루아침에 다 타버렸다”며 “송이 포자가 다 타버려 30~40년 뒤에 송이가 나올지, 안 나올지도 전혀 모르는 상황이다. 생업을 잃은 임업인들의 피해 보상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전찬걸 울진군수는 “단 한명의 이재민도 소외되지 않도록 총체적 지원에 나서겠다”며 “이재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시주거주택 72동도 조기에 건립하겠다”고 말했다.

동해안 산불피해 이웃돕기 성금 배분도 관심사다. 전국재해구호협회에 모아진 성금은 산불 피해지역 복구와 주민 지원사업에 사용된다. 13일 기준 산불피해 이웃돕기 모금액은 243억9521만원이다. 성금 모금은 오는 31일까지 이어진다. 전국재해구호협회 관계자는 “성금 배분은 행정안전부, 자치단체, 적십자, 사회공동체공동모금회 등 관계기관이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해·울진=서승진 안창한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