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철수 인수위, 논공행상 차단하고 실용적 목표 집중하라

입력 2022-03-14 04:01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인수위원장에 임명했다. 안 위원장은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부위원장), 원희룡 전 제주지사(기획위원장)와 호흡을 맞춰 새 정부의 밑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맡았다. 국민의힘 소속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를 국민의당 대표가 주도하게 된 것이다. 선거 과정에서 약속한 공동정부 구성의 첫발을 뗐다. 인수위는 국민통합, 코로나, 지역균형발전을 다룰 세 개 위원회와 일곱 개 분과로 구성돼 조만간 활동을 시작한다. 그 역할은 권력을 인수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를 넘겨받는 것이다. 안 위원장은 줄곧 말해온 대로 가장 실용적인 목표를 설정해 정치를 배제하고 기능을 극대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인수위가 권력투쟁의 장으로 변질된다면 새 정부의 순탄한 출범은 기대하기 어렵다. 선거 논공행상이나 자리다툼의 조짐부터 철저히 차단해야 할 것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0.73% 포인트 차이의 신승에 담긴 묵직한 의미를 잊어선 안 된다. 나부터 백의종군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런 목소리가 인수위 활동 전반을 관통하는 메시지가 되도록 분위기를 만들어갈 책임이 안 위원장에게 있다. 역대 인수위원장들은 새로운 인수위가 꾸려질 때마다 “점령군처럼 굴지 말라”고 조언해왔다. 인수 업무는 각 부처 공무원들을 상대로 진행된다. 정부의 연속성을 이어가는 이들을 지난 정권 사람들로 치부한다면, 앞으로 호흡을 맞춰야 할 공직사회에 편 가르기를 조장하는 꼴이 될 것이다.

이번 인수위는 개정된 인수위원회법에 따라 처음으로 정부 인사기록과 인사관리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새 정부에 발탁할 이들을 어느 때보다 충실히 검증할 여건이 마련됐다. 인사가 잘못됐을 경우 변명거리가 사라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문재인정부에서 인사 실패가 반복된 것은 진영을 의식해 인재풀을 너무 좁게 설정했기 때문이다.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실용과 통합의 기조를 확고히 세우고 널리 사람을 찾아야 한다. 인수위 사무실은 과거와 달리 서울 통의동과 삼청동에 분산될 예정이다. 당선인과 인수위원장의 집무실은 통의동 같은 공간에 마련된다. 두 사람이 수시로 대화하고 조율할 수 있는 물리적 여건이 갖춰지게 됐다. 국정 방향과 정책 밑그림을 다듬는 긴밀한 소통이 이뤄지기 바란다. 두 달간의 인수위 활동이 충분한 성과를 내려면 꼭 필요한 일이고, 향후 공동정부의 원만한 운영을 위해서도 좋은 예행연습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