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선도를 위한 ‘수도권 인구 분산 국가계획’ 수립 촉구를 기대합니다.”
제20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지역공약 35개 프로젝트, 약 90조원 규모의 ‘신 경북프로젝트’를 각 대선 주자들에게 건의했던 경북도가 차기 정부에 수도권 인구 분산 국가계획 수립, 주요 국가기관 지방 이전, 대구경북경제협력 시범단지 조성 등을 적극 요구하고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북도는 앞으로 꾸려질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주요 임부가 차기 정부 5년의 밑그림을 그리고 선거 과정에서 제시된 공약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지역 발전이 곧 국가 발전으로 연결되는 현안 사업들도 집중 건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획조정실을 중심으로 산업경제, 균형발전, 지속가능, 문화관광 등 4대 분과 중심의 차기 정부 국정과제 범실·국 대응체계를 구축했으며 대구경북연구원을 중심으로 연구지원단도 구성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13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조직에 지역균형발전특위를 추가한 것과 관련해 “적극 환영하고 감사하다”며 “새 정부의 성공이 지방 정부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지역 문제에 관심이 많았고 만날 때마다 지방시대를 열어야만 도약을 이뤄낼 수 있다는데 공감을 해왔다”면서 “이번 결정을 계기로 더욱 소통을 강화하고 새 정부의 성공이 지방정부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특히 “새 정부는 역대 인수위원회 최초로 지역균형발전특위를 만들었기 때문에 어느 때 보다 기대가 크고 지방 정부가 더욱 국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인수위에 지역균형발전특위 설치가 공식화 된 만큼 경북도에서도 인력 파견 등을 통해 국가 균형 발전에 대한 밑그림을 함께 그리는데 적극 협조한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당선인 확정 이후부터 임기 시작일(5월 10일) 이후 30일 범위에서 존속하기 때문에 경북도 역시 약 3개월간 대응 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수도권 일극 체제가 저출산, 부동산 문제의 원인으로 지방의 발전이 없으면 국가 발전도 없다”며 “당선인께서 지역균형발전특위로 첫걸음을 내디딘 만큼 이제 17개 시·도와 함께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지방화 시대를 열고 대한민국을 초일류 국가로 만들 묘수를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