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당 비대위, 파격 인선보다 처절한 반성 보여야 한다

입력 2022-03-14 04:02 수정 2022-03-14 04:02

더불어민주당이 발 빠르게 당 체제를 정비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주 윤호중 원내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에 내정한 데 이어 13일 비상대책위원회 인선을 발표했다. ‘n번방 추적단 불꽃’ 활동가 출신인 박지현 여성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대위 공동위원장에 임명했고, 전체 비대위원 중 절반을 2030세대로 꾸렸다. 26세의 공동위원장 임명은 파격적인 조치다. 젊은 세대를 비대위에 포진시켜 변화를 모색하겠다는 취지는 환영한다. 다만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이유로 대선 결과에 대한 반성과 쇄신이 흐지부지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민주당의 모습은 대선 패배 이후 격렬한 내분에 휩싸였던 과거 정당들과 조금 다르다. 패배 원인을 놓고 치열하게 논쟁하는 모습도 보이지 않는다. 대신 ‘아깝게 졌다’는 식의 석패론이 대세를 이룬다. 김두관 의원을 중심으로 대선에서 패배한 이재명 전 경기지사를 비대위원장으로 등판시켜야 한다는 서명운동까지 벌어지고 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대장동 특검의 3월 임시국회 처리 의사를 밝혔다. 대장동 의혹은 지난 대선 최대 이슈였다. 검찰 수사가 사실상 마무리 수순이기 때문에 특검을 통한 진상규명이 필요한 사안이다. 문제는 진정성이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대선 과정에서 줄곧 대장동 특검을 주장했지만 구체적인 협상을 벌이지 않았다. 서로 말로만 특검을 외쳤을 뿐이다. 민주당이 다시 대장동 특검을 꺼내든 것은 원내 172석의 위력을 과시하며 국회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의미일 것이다. 당내 강경파인 정청래 의원도 “국회는 절대 다수의석이 민주당에 있다”며 대장동 특검을 비롯한 법안 처리를 주장했다.

민주당이 할 일은 출범을 앞둔 새 정부의 발목잡기가 아니다. 대선에서 드러난 국민의 따가운 질책에 답할 방법을 찾고, 국회 다수당으로써 견제와 균형의 절충점을 찾는 일이다. 민주당 선대위의 좌장이었던 정성호 의원은 “내로남불 오만한 행태를 거듭하다 심판받았다는 사실을 벌써 잊어버렸다”고 쓴소리를 했다. 지금 민주당을 보는 많은 국민이 비슷한 심정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