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유일의 외국인학교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학생 수 감소와 외국기업 유치 어려움으로 문을 닫게 될 위기를 맞고 있다. 1999년 설립 이후 20여년 만에 최악의 경영난으로 존폐 갈림길에 섰다.
13일 광주시와 시교육청에 따르면 2000년 8월 시교육청 정식 인가를 받은 광주외국인학교가 개교 22년 만에 폐교를 심각하게 저울질하고 있다.
3년째 이어진 코로나19 여파로 외국기업과 연구인력 유치가 사실상 막히면서 2018년 59명이던 학생 수는 2019년 41명에 이어 코로나19가 불어닥친 2020년 33명으로 급감했다. 지난해 41명으로 다소 회복됐지만, 정상운영을 위한 70~80명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
이에 따라 학교는 지난해 6월 운영난으로 문을 닫는다고 학부모들에게 문자까지 발송했다가 시와 학부모의 설득으로 폐교 방침을 철회했다.
광주시는 경제자유구역 활성화와 핵심사업인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을 위한 필수 인프라로 인식하고 지원방안을 강구 중이지만 법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고심하고 있다. 시와 교육청은 다른 법령을 준용해 보조금을 지원해도 되는지 관련 부처에 유권해석을 요청하는 등 구제 대책을 추진 중이다.
광주외국인학교는 당초 양산동 옛 근로청소년복지회관에서 미인가 시설로 문을 열었다. 시교육청에서 외국인 교육시설로 정식 인가를 받은 후 외국인 교육기반 확충 차원에서 총 86억원을 들여 첨단지구로 신축·이전해 운영됐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코로나19 종식 이후 활성화될 국제교류, 한전공대 개교에 따른 외국 연구인력 유입에 대비해 지원대책을 여러모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