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당국이 7일째 밤낮없이 울진·삼척 산불 진화에 매달리고 있지만 변덕스러운 바람과 험한 지형 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 당국은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와 응봉산 현장에 집중해 진화율을 75%까지 끌어올렸지만 추가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산림 당국은 10일 일출과 동시에 헬기 82대를 띄워 불길을 공략했다. 지상에도 진화인력 4000여명, 진화차량 400여대를 동원했다. 응봉산은 전날까지 연무 때문에 공중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날 서풍이 불어 연무가 동쪽으로 이동해 시계가 확보됐고 공중 접근이 수월했다.
이 때문에 진화에 진척이 있을 것이라고 봤지만 생각보다 진화가 쉽지 않았다. 금강송 군락지도 핵심구역 300m 앞까지 다가온 5㎞에 이르는 화선을 방어했지만 여전히 번질 위험이 있다. 기상조건이 다시 나빠질 것으로 예상되며 주말인 오는 13일 비 예보가 있지만 충분한 강수량이 될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오후 현장 브리핑에서 “주불을 진화했다고 말할 단계는 아니고 소광리 군락지 주변에 들어온 불을 정리하는 것이 목표”라며 “소광리 지역은 북쪽에 불덩어리가 여전히 살아 있어 다시 번질 위험이 있고 응봉산 일대는 굉장히 불길이 세고 지역이 넓어 정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산림청은 울진에서 시작해 강원 삼척까지 번진 산불과 관련해 실화 의심차량 소유주 주소지 정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최 청장은 “산불 원인과 관련해 울진군이 경찰로부터 (차량 소유주) 주소지 등 정보를 받았다고 확인했다”며 “그것을 바탕으로 정식으로 수사를 의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림청과 경찰 등은 산불이 발생한 4일 오후에 해당 지점 CCTV 영상을 확보했다. 당국은 자연 발화 가능성이 적은 상황에서 도로변에서 불이 맨 처음 발생했기 때문에 담뱃불 등 불씨에 의한 실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울진군 북면 두천리 최초 발화 추정 지점에서 1차 감식을 하는 등 지금까지 두 차례 현장 조사를 했다.
울진=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