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치러진 대선의 지상파 방송 3사(KBS MBC SBS) 공동 출구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 포인트 미만의 초박빙 대접전 양상을 보인 것은 중도층의 ‘투표 기권’ 현상 때문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이 후보는 대장동 의혹, 윤 후보는 ‘본·부·장(본인·부인·장모)’ 의혹에 각각 휩싸이면서 이번 대선은 극도의 네거티브 대결 양상으로 전개됐다. 중도층이 ‘비호감 대선’을 이유로 투표장에 가지 않았고, 양 지지층의 결집만 확인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방송 3사 공동 출구조사에서 이 후보는 47.8%, 윤 후보는 48.4%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종합편성채널 JTBC 출구조사에서도 이 후보가 48.4%, 윤 후보가 47.7%를 각각 기록했다. 방송 3사 출구 조사에서는 윤 후보가 0.6% 포인트 앞섰고, JTBC 조사에서는 이 후보가 0.7% 포인트 우세했다. 모두 오차범위 내 초박빙 대혼전이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중도층과 2030세대가 끝까지 망설였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후보나 윤 후보에게 죽어도 표를 못 주겠다는 여론이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권심판이냐, 아니냐를 놓고서도 마지막까지도 판단을 못했던 것”이라며 “네거티브 대선판에서 사실상 중도층의 투표 기권이 많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성수 한양대 정외과 교수는 “정책이 실종된, 네거티브가 만연한 선거 형태가 되다 보니 대선이 진영 싸움으로 흘러가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현우 서강대 정외과 교수는 “누구를 찍든지, 후보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으니 중도층은 투표장에 가고 싶은 욕구가 굉장히 약해졌을 것”이라며 “선거가 박빙일 때 투표율이 올라간다고 하는데, 2017년 대선에 비해 이번 대선이 훨씬 박빙인데도 투표율이 올라가지 않았다”고 말했다. 실제 이번 대선의 잠정 최종 투표율은 77.1%로, 2017년 대선의 77.2%와 거의 똑같은 수치였다.
최근 터진 우크라이나 사태와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영향을 줬다는 시각도 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최근 사태들이 국민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변화보다는 안정을 택하는 심리가 작동한 것 같다. 그렇게 되면 집권 여당에 유리하게 작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진보 진영이 야권 대선 후보 단일화에 대한 반작용으로 막판 결집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최 원장은 “진보 진영은 단일화에 대한 반작용으로 똘똘 뭉친 효과도 있다”고 분석했다.
문동성 구승은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