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매체 “청와대 주인 바뀌었다고 한·중 관계 퇴보 안 돼”

입력 2022-03-10 04:08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한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관심이 뜨겁다. 중국은 선거 결과에 주목하면서도 청와대 주인이 바뀐다고 한·중 관계가 퇴보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누가 대통령이 되든 한·일 관계를 건전하게 되돌릴 수 있도록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 환구시보는 9일 한국 대선 결과가 한반도 문제와 한·중 관계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환구시보는 이날 사평에서 “한국의 대선 선거운동이 전례 없이 중국 관련 의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이 매체는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세 닢 주고 집을 사고 천 냥 주고 이웃을 산다’는 속담을 인용해 “한·중은 경쟁국이 아니라 이해관계가 얽혀 있고 상호보완적 이점과 잠재력이 큰 파트너”라고 언급한 점을 상기시켰다.

그러면서 “확실한 것은 청와대 주인이 바뀌었다고 해서 이 사실이 달라지지는 않을 거라는 점”이라며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한·중 관계는 뒤로 물러설 수 없다”고 강조했다. “신임 한국 대통령은 중국과 미국 사이의 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편들기가 아닌 가교 역할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환구시보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도 “한국 대선 결과는 향후 몇 년 동안 양국 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일본 정부 역시 한국 대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중요한 이웃인 한국의 차기 대통령을 결정하는 선거이므로 당연히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쓰노 장관은 ‘최악의 한·일 관계에서 한국 새 정권에 대한 일본의 자세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향후 한·일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서는 아무것도 정해져 있지 않지만, 한·일 관계를 건전하게 되돌릴 수 있도록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근거해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주요 언론들도 한국 대선을 집중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이번 선거에서 보수와 진보 세력이 격전을 벌이고 있다”며 “선거 결과가 대북정책과 문재인 정권 아래 계속 악화한 한·일 관계 행방을 좌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NHK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일본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난다”며 선거 결과가 냉랭해진 한·일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황인호 기자,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