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에서 거래된 오피스텔 월세 거래 5건 중 1건은 ‘순수 월세’로 나타났다. 순수 월세는 보증금이 월세 12개월 치보다 적은 경우를 의미한다. 세입자로서는 주거비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지만, 목돈 마련이 어려운 젊은 수요층이 선호한다. 업계에서는 순수 월세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본다. 대출금리 이상의 수익을 원하는 임대인이 늘고 있어서다.
8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오피스텔 월세 거래 2만5607건 가운데 순수 월세 비중은 20.9%(5355건)에 달했다. 집계를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2011년 서울 오피스텔의 순수 월세 거래비중은 10%(총 4755건 중 477건) 수준에 그쳤으나, 이후 거래 건수와 비중이 꾸준히 늘어왔다.
반면 지난해 서울 오피스텔 준월세(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 구간에 들어간 경우) 거래 비중은 69.4%(1만7778건)로 전년(70.9%, 1만8282건)보다 줄었다. 이 비중이 70% 아래로 떨어지기는 처음이다. 준전세(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 거래비중도 2020년 11.1%(2863건)에서 지난해 9.7%(2474건)로 감소했다.
서울 오피스텔의 순수 월세 거래가 늘어난 배경에는 젊은 직장인 등 1~2인 가구의 수요 증가가 자리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서울에서 가구주 연령이 25~39세인 1~2인 가구는 2011년 225만6799가구에서 올해 246만1981가구으로 9.1%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목돈 마련이 어려워 보증금이 낮은 순수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서울 오피스텔에 순수 월세로 거주하는 세입자의 주거 면적은 준월세나 준전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지난해 서울에서 월세 거래된 오피스텔의 주거 전용면적(평균치)은 순수 월세 24.3㎡, 준월세 25.0㎡, 준전세 29.0㎡로 집계됐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순수 월세는 다른 월세 유형보다 보증금이 낮은 대신 매월 지출하는 주거비 부담이 커서 세입자들이 보다 작은 면적을 선택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