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고속열차 제작사가 운행 중인 고속열차 정비까지 참여하고 제작기준도 유럽 수준으로 강화된다. 지난 1월 발생한 KTX 산천 열차의 궤도이탈 사고에 대한 재발 방지 차원에서다. 국토교통부는 7일 ‘고속열차 안전관리 및 신속대응 방안’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현재 고속철 열차 정비는 운영사인 코레일이 맡고 있다 보니 현대로템 등 제작사와 운영사 간 정비 노하우 공유가 어려웠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국토부는 내년 말부터 투입될 최신 고속차량(EMU-320) 정비에는 제작사도 참여하게 함으로써 차량 제작과 정비 간 선순환 교류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작사가 정비까지 책임지게 되면 더욱 안전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KTX 사고와 같은 대형 인명피해를 낼 수 있는 사고 발생 시 제작사와 운영사 간 책임 분담 기준에 대한 연구용역도 추진된다. 중대재해처벌법상 책임 공방이 벌어지는 걸 막기 위한 취지다. 아울러 고속열차 안전의 핵심인 주행장치(차륜·차축·대차)의 제작기준과 관련해서도 현재 새로운 형식이 개발될 때만 시행하던 선로주행시험을 전면 실시하는 등 유럽 수준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고속열차 제작 기준, 유럽 수준으로 강화
입력 2022-03-08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