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푸틴은 전쟁범죄인 민간인 살상을 당장 중단하라

입력 2022-03-08 04:03
재한 우크라이나인들이 6일 서울 러시아대사관 인근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군이 병원, 유치원, 학교에 포탄을 퍼부으며 민간인 공격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전쟁을 피해 자동차로 이동하던 한 가족이 박격포에 맞아 숨지는 일도 벌어졌다. 민간인 대피를 위해 이틀간 휴전한다는 평화회담에서의 합의까지 무산됐다. 우크라이나 국민이 단결해 강하게 맞서자 러시아군이 민간인 지역을 집중 타격해 저항 의지를 꺾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전쟁 중이라도 어린이와 환자를 겨냥해 포탄을 쏘는 야만적 전쟁범죄 행위는 당장 중단돼야 한다.

러시아군은 전황이 어려워지면 민간인을 희생 시켜 상대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전략을 구사해왔다. 1999년 시작된 2차 체첸전쟁이 대표적이다. 당시 체첸 시민들의 저항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자 러시아군은 체첸의 수도 그로즈니의 민간인 지역을 공격해 공포를 확산시켰다. 심지어 반군에 협조적인 시민을 대거 색출해 처형하기도 했다. 2016년 시리아 내전에서도 러시아군은 민간인을 집중 공격해 비난을 받았다. 이번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나토 회원국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대전차 로켓포에 수도 키이우 공략이 저지되자 러시아군은 민간인 지역 포격을 강화해 희생자가 속출하고 있다. 러시아의 대규모 공습마저 임박해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러시아를 포함해 194개국이 비준한 제네바협약은 전쟁 중 민간인과 병원, 학교 등 민간시설에 대한 공격을 금지하고 있다. 전 세계가 매일 포격으로 숨지는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을 안타깝게 지켜보고 있다. 비인도적인 민간인 공격을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자행하면서 어떻게 우크라이나 침공이 러시아의 안보를 지키는 불가피한 전쟁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가. 이미 국제형사재판소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전범으로 회부했다. 러시아는 이성을 되찾고 우크라이나에서 즉각 철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