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이 대선 막판 뇌관으로 부상하고 있다. 초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대선 공정성 논란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다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부정선거’ 음모론에는 선을 긋고 있다. 양당 모두 대선 승리 가능성이 있어 자칫 부정선거 논란을 잘못 펼쳤다가 대선 이후 자기 발목을 찍는 상황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논란이 패배한 측에게 불복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우려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과 관련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그 경위를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상세하고 충분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전했다.
문 대통령은 선관위를 향해 “본투표에서는 이런 논란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빈틈없이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앞서 이날 한차례 사과 입장을 밝힌 선관위는 심야에도 “많은 혼란과 불편을 드려 깊이 사과드린다”며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거듭 사과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6일 선관위를 상대로 긴급 현안보고를 받았다.
비공개 회의에서는 임시기표소 설치 없이 확진·격리자들이 일반 투표소에서 투표하는 방식이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선관위는 당초 일반 유권자들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확진·격리자는 오후 6시부터 7시30분까지 투표 시간을 분리해뒀다. 다만, 대기시간이 겹칠 것을 감안해 확진·격리자를 위한 임시기표소를 설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관리 부실 논란이 확산하자, 별도의 임시기표소를 없애 확진·격리자들이 일반 투표소에서 투표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선관위는 7일 최종 방안을 결정한다.
여야는 맹공을 퍼부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선관위 차원의 대국민 사과와 함께 책임자들에 대한 엄중한 문책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도 “선관위는 이 사태가 발생한 데 대해 전체적인 책임을 질 인사의 즉각적인 거취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초박빙으로 승패가 갈릴 상황인 점을 의식해 양당은 ‘선거 공정성’ 문제 대신 ‘관리 부실’을 문제 삼았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특히 지지층을 향해 대선 당일인 9일 적극적으로 투표에 임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향후 공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초접전 양상인 데다 이번 선거는 극도의 ‘비호감 분노 선거’이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며 “설령 큰 격차로 이긴다고 해도 1표의 불법 소지가 있으면 선거 전체에 대한 공신력을 훼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만일 근소한 차이로 한쪽이 이기게 된다면 사전투표 관리 부실 논란이 큰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가현 강보현 기자 hyun@kmib.co.kr